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스페셜
"
수
"(으)로 총 12,2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UNIST, 해
수
전지 성능 대폭 향상시키는 '슈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절개 없이 주사로 주입해 감염 위험 등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분해 속도를 조정할
수
있고 생체 신호 측정에 더 유리해 3배 이상 높은 감도로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에 지난달 24일 게재됐다 ... ...
[과학게시판]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3년 한국과학상·한국공학상
수
상 후보자 추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1
조립과 AI 오목 등 체험프로그램이 준비됐으며 행사 후에는 오픈랩(Open Lab) 투어에 참가할
수
있다. 자세한 일정은 한국뇌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 ...
[오늘과학] 암 세포에 형광물질 붙여
수
술 중 정확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이번에 개발된 형광염료와 영상분석기술은 암종양을 전례 없이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임상 검증을 통해 하루빨리 소아암을 앓는 어린이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박정연의 닥터스] “몸도 기억하는 트라우마...신체로 치료해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허휴정 인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
수
가 지난달 인천성모병원 의학도서관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답변하고 있다. 인천성모병원 제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일명 트라우마는 ... 습관을 길러야할 필요가 있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남들도 더 잘 사랑해줄
수
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연구자가 밝힌 진화생물학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3.19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도롱뇽의 한 종류인 ‘알파인 뉴트’가 땅을 짚으며 걸어가는 모습을 17일 표지로 실었다. 땅에 닿 ... 교
수
는 “진화생물학에서 해결되지 않았던 부분을 풀었다는 점과 사람들의 관심이 쏠릴
수
있는 연구란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편광 현상을 활용하면 향후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분야는 물론 다양한 색채를 구현할
수
있는 광학 소재를 비롯해 생체 분자, 화학 약품 개발 등에 혁신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 '미루기' 만큼 좋지 않은 '서두르기'
2023.03.18
돌아오는 실험을 했을 때에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가장 적은 노력을 들일
수
있는 선택은 빈 손으로 갔다가 반환점을 찍고 돌아오는 길에 물건 두 개를 하나씩 집어 오는 것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출발하는 길에 물건을 집는 것을 선택했다. 언뜻 보면 비합리적인 행동이 나타나는 이유에 ... ...
[기후위기와 산림] 더 많은 탄소 흡
수
하는 나무 만들기
2023.03.16
유전적 특성 평가에서 나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실제 생장을 예측하는 기술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우리나라 산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중장기적 시야를 가지고 임목개량 연구 기술을 지속적으로 축적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경미 국립산림과학원 임목자원연구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세포 특이적 약물 전달을 위한 단백질 조립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5
김학성 KAIST 생명과학과 교
수
연구팀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이 표지논문으로 실린 국제학술지 '스몰' 2월호 표지. KAIST 제공 ... 생물학·의학적 과정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우주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대응 전략까지 개발하는 사업이다 ... ...
[오늘과학] "아이의 외국어 습득, 성인보다 또래와 대화가 더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3.14
의사소통을 할 때 성인보다 또래 아이들이 표현하는 언어를 자신의 것으로 더 잘 흡
수
한다는 분석이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는 하이디 콜레란 연구원 연구팀이 40개의 다양한 언어가 사용되는 남태평양 말라쿨라섬에 사는 아이들의 언어발달 과정을 조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1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