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스페셜
"
연구자
"(으)로 총 2,117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발사체·위성 종합솔루션 기업 꿈꾸는 KAI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돔 형태 틀이 사용되는데 틀과 알루미늄 합금판 사이에 오차는 4mm 이내 불과하다. KAI
연구자
들은 이 오차를 줄이기 위해 열처리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겪었다. 김 차장은 “탱크의 개발모델(DM)을 만드는데 1년 6개월이 걸렸는데 이 중 돔 형태를 만드는 데만 1년을 썼을 정도로 어려운 작업이었다"고 ... ...
델타 플러스, 전파력 더 강할까…당국 "기존 델타와 비슷할 듯"(종합)
연합뉴스
l
2021.08.03
있지만, 위험도와 전파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태다. 3일 국내외 코로나19
연구자
등에 따르면, 델타 플러스 변이는 델타 변이에 'K417N'라고 불리는 돌기 단백질 변이가 하나 더 생긴 것을 말한다. K417N은 베타 변이(남아공발)와 감마 변이(브라질발)에서 발견된 단백질 변이인데, 지금까지 ... ...
"감염병 시대 의사과학자 절실하지만 국내 양성 트랙 제한적"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국내에 별로 마련돼 있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의사과학자의 역할을 기초의학
연구자
로 제한하지 않고 기초의학과 임상의학의 가교 역할을 부여하고 임상교수나 전문의 과정에서 고유 연구 분야를 정립하는 데 도움을 줘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회입법조사처는 2일 이런 내용과 함께 올해 국회 ... ...
[강석기의 과학카페]'비너스의 꽃바구니'로 불리는 해면 이야기
2021.08.03
있다. 유리해면은 이 문제를 해결했기에 해저에서 부유물섭식자로서 살아갈 수 있다.
연구자
들은 네 가지 구조 모형을 만들어 유리해면의 골격 구조가 바닷물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했다. 첫 번째 모형은 속이 차 있는 원기둥이고 두 번째 모형은 이 원기둥에 ... ...
바다 떠다니며 크는 어린 바다거북, 플라스틱 먹고 자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2
해류를 타고 바다를 떠다니며 자라나는 어린 거북이 인간이 버린 플라스틱에 노출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해류를 타고 바다 ... 섭취가 거북의 건강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낼 것”이라며 “전 세계
연구자
와 수의사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지난달 27일 그린란드 얼음 하루만에 85억t 녹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NASA)과 영국 리즈대, 서기원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등 50개 연구기관 96명의
연구자
가 참여한 빙하질량균형비교운동(IMBIE) 연구팀은 1992~2018년까지 그린란드의 빙하가 3조 8000억t 사라져 해수면이 10.6㎜ 상승했다는 연구 결과를 2019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하기도 했다. 이번 빙하 소실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눈 앞에 보이는 괴롭힘을 방관하는 사람들
2021.07.31
이상은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 겨우 18%의 학생들만이 가해자를 막아섰다.
연구자
들은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특히 침묵하거나 반대로 적극적으로 나서는지 살펴봤다. 목격자가 남성일 때보다 여성일 때 더 상황을 중재하고 신고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덕적 용기'가 ... ...
mRNA백신
연구자
들 “백신 국산화, 특허 회피와 설계·전달체·생산·전임상 전주기 지원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용홍택 1차관은 “특허청과 특허 맵 정보를 공유하고
연구자
들이 특허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힘써야 할 것”이라며 “mRNA 백신 후보 생산과 전임상을 위한 영장류 시설 등이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연계돼야 한다는 의견들이 개진돼 적극적으로 지원할 ... ...
캐나다서 8억9000만년 전 해면동물 흔적 발견…最古 화석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7.29
연구를 발표하면서 이례적으로 같은 날 기사를 통해 이번 연구에 확신을 하지 못하는
연구자
들도 많다고 소개했다. 학계의 논의를 부를 가치가 있는 만큼 게재를 결정했다는 후문이다. 이 교수는 “저를 포함해 4명이 심사하면서도 3명만 최소한 비슷한 걸 찾아보고 토의할 가치가 있다는 데 ... ...
"국내 뇌 연구, 논문만 내지 말고 이제는 상용화도 관심 가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그럴려면 현재의 뇌 연구 문화 자체가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30~40대 젊은
연구자
들이 좋은 과학기술을 가진 산업계 회사들과 융합 연구로 힘을 모으면 미국 보스턴이나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기초과학자보다도 훨씬 빠른 속도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