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필
플필
자신소개
이력
스페셜
"
자기소개
"(으)로 총 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요리가 먹을거리에 있는 박테리아와 기생충을 줄여주고 소화효율을 높이는 등 많은 이득을 주는 게 사실이지만,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턱근육과 치아크기의 축소에 요리가 필요했던 건 아니고 육식의 도입과 고기 및 뿌리채소의 기계적 가공의 효과만으로도 가능했을 것이다.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2014년 위안부와 관련해 이상한 글을 발표해 지금은 정떨어졌지만 1990년대 국내 독서계에서 시오노 나나미의 인기는 대단했다. 1992년부터 매해 한 권씩 펴낸 ‘로마인 이야기’는 가히 열풍 수준이어서 일본에서 취재를 왔을 정도였다. 역사책은 잘 안 읽는 필자조차 3, 4권까지는 읽은 것만 봐도(2006 ... ...
로또 1등 명당에서 사면 정말 로또에 당첨될까
2016.02.02
길을 걷다보면 숫자 6개를 맞춰 복권에 당첨되는 ‘로또’를 살 수 있는 가게가 흔히 보인다. 그리고 더불어 그 가게들에서는 제각기 ‘2등 n번 당첨된 곳’이라든가 ‘1등 명당’ ‘1등 나온 곳’ 등 다양한 홍보 문구가 붙어있다. 그리고 다양한 후기에서 ‘1등이 나온 자리에서 또 나온다’ 같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2016.01.09
연말마다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연말마다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2015년도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과거와 마찬가지로 과학저널 ‘네이처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
2015.12.15
“내가 담배 조…, 아니 껌 좀 씹어 봐서 아는데~” 정말 껌을 제대로 씹어봤다면 이런 말을 쉽게 내뱉지 못한다. -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2015년을 마무리하며, 여러 모임을 갖게 된다. 이런 저런 이야기가 오고가는 모임 자리에서 종종 “내가 해 봐서 아는데~” 라며 자신의 경험을 우쭐하게 ... ...
파이(π)와 함께 춤을...
2015.11.23
뉴턴 씨는 말했다. 자기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서 있기 때문에 그렇게 멀리까지 볼 수 있노라고. 내 어깨도 그의 영광을 떠받치는 튼튼한 어깨 가운데 하나라고 말하면 지나친 자화자찬이 될까. - ‘핑거포스트, 1663’에서 존 월리스의 말 영국 작가 이언 피어스의 1997년 작 ‘핑거포스트, 166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3] KSTAR의 극저온냉각장치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11
지구에서 태양과 같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수소 원자들을 1억℃ 이상의 초고온의 플라즈마 상태가 필요합니다. 1억도라는 상상하기도 힘든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KSTAR와 같은 핵융합장치입니다. KSTAR와 같은 토카막형 핵융합장치는 초고온의 플라즈마를 가두기 위해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2] 국산 핵융합장치 KSTAR의 진공배기에 대해 알아보자
2015.11.09
지난 여름 한국의 인공태양이라 불리는 핵융합장치 KSTAR가 국가핵융합연구소 핵융합특수실험동에서 움직임이 포착됐습니다. 국가 중요 연구시설로 일반인의 자유로운 출입은 어렵지만, 과학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학생들과 일반인들에게 정기적으로 투어프로그램을 통해 공개됐던 KSTAR는 ... ...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
KISTI
l
2015.09.29
아침잠이 많은 사람은 게으르다? 지난 몇 년간 저녁형 인간’에 대해 새로운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저녁형 인간=게으르다’는 통념이 깨지고 있다. 오히려 ‘아침형 인간’보다 영리하고 창의적이지만 아침형 생활 리듬에 맞춰진 사회 구조 탓에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