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8,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08
맛을 내는 이유 중 하나도 공기의 함량이 20-30%밖에 안되기 때문이다. 또 놀이 공원 같은
곳
에서 볼 수 있는 즉석에서 만들어 먹는 소프트 아이스크림이 약간 거친 맛을 내는 것은 일반 아이스크림에 비해 주입되는 공기의 양이 훨씬 적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료들이 충분히 섞이도록하는 숙성과정이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08
산소밀도가 높은 독방에서 알코올솜으로 몸을 닦고 그것을 버린
곳
이 하필 뜨거운
곳
이었던 것이다.마지막 훈련 관문을 통과한 6명의 우주비행사들이 티우라탐(일명 바이코누르기지)에 도착한 것은 3월 말. 3월 25일 두번째 리허설에 나선 ‘즈베즈도츠카’(개)가 우주여행에 성공하느냐에 따라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08
혈액이 걸러져 만들어진 것이므로 몸의 건강상태를 반영한다. 특히 소변을 만드는
곳
인 신장에 병이 생기면 소변에 그 신호가 제일 먼저 나타난다. 따라서 소변은 우리 몸의 건강을 반영하는 거울이다.소변검사와 혈액검사흔히 소변검사를 할 때는 소변에 플라스틱 막대 같은 것을 담갔다가 꺼내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07
텔로머레이즈(telomerase)다. 생식기관, 조혈기관, 그리고 피부와 같이 세포분열이 왕성한
곳
에서 활약을 펼쳐 텔로미어가 줄어들지 못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세포에서 텔로머레이즈의 활성도가 낮아졌다면 텔로미어의 길이가 짧아졌음을 의미한다.그동안 텔로미어와 노화의 관계는 주로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07
산, 모래와 먼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스타워스'의 타투인 배경장면을 촬영한
곳
도 연 평균 강수량이 150mm에도 못미치는 튜니지아 남부 사막 지대였다.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사막이 모래 평지로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모래와 먼지는 바위 침식의 마지막 형태일 뿐, 실제로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07
설사병을 일으키는 로타 바이러스는 주로 점막에서 증식한다. 따라서 인체의 다른
곳
보다 바로 점막에서 주로 형성되는 항체를 만들도록 백신을 개발해야 한다. 다른 예로 소아마비나 간염, 홍역의 경우 혈액 내의 항체가 더욱 효과적이다.에이즈 백신은 어디까지 개발됐을까. 현재 건강한 사람에게 ... ...
달 착륙30주년
과학동아
l
199907
바다 수십억년 동안 생명의 숨길이 닿아본 적이 없는
곳
그
곳
에 사뿐히 내려앉아 생명의 밀어를 속삭였던 일이 어느덧 30년이 흘렀다. 이처럼 숭고한 임무를 맡았던 아폴로 11호는 아이러니컬하게도 냉전시대의 유산. 체제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해 엄청난 돈을 쏟던 우주전쟁이 없었던들 인류는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07
더욱이 NASA와 같은 강력한 중앙조직도 없었다. 따라서 26개의 관련 정부기관과 5백여
곳
의 조직을 일원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상태였다.아폴로와 루나는 닮은 꼴그런데 이상한 것은 미국이 세운 아폴로계획과, 코롤료프가 소유즈 캡슐을 변형해 만든 달착륙선 루나가 참으로 비슷했다.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07
특별한 천체가 없지만 은하수 나선팔 영역에 놓여있어 새로운 별(신성)이 종종 나타나는
곳
이다. 389년에 견우성 근처에서 금성만큼 밝은 신성이 나타났다. 1918년 6월8일 밤에는 람다(λ)별의 북서쪽에서 견우성보다 밝은 별이 나타났는데, 이 별은 1604년 케플러 초신성 이래 가장 밝은 신성이었다.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07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기지를 건설하고, 1957년 8월 5메가t의 수소폭탄을 6천5백km 떨어진
곳
까지 나를 수 있는 SS6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데 성공했다. 9월 두 번째 시험발사는 당 제1서기였던 니키타 흐루시초프(1894-1971)가 지켜보는 가운데 이뤄졌다. 평소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싶어했던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