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능설계 및 그래픽스 연구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의료 이미지를 이용해 3차원 영상을 제작하면 실제 내부 구조와 똑같이 볼 수 있어 이상이 생긴 부분을 더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검사로 얻은 태아의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바꾸면 태아의 골격 구조 전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이 3차원 골격 구조로 태아가 정상인지 ... ...
- 폴링 스카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가진 지적 생물이 사는 행성의 수를 53만 개 정도로 보았다. 53만 개 행성! 언제 만나도 이상하지 않다!하지만 여전히 ‘그들이 지구를 침략하러 오거나 놀러올 가능성’은 낮은데, 이는 공간과 시간의 문제다. 우주가 터무니없이 넓고 인류의 역사가 터무니없이 짧기 때문이다.인류가 문명을 발전시킨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입자에는 숙주세포 표면의 특정 수용체(receptor)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이 한 가지 이상 존재한다. 숙주세포의 수용체는 원래 숙주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별도로 수행하는 부위인데 만약 이 부위의 구조가 돌연변이 등의 결과로 변형이 되면 바이러스 감염은 불가능하다.부착 이후 침입과정은 ...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물에 녹지 않는 지용성 비타민인 쉽게 배설되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되는 경우도 있어 더 이상 복용을 권장하지 않는다.비타민의 여전한 인기, 그리고 뒤에 숨은 진실[건강기능식품 제조회사의 간접적인 검열은 대중에게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기도 한다.]비타민의 최신 연구를 ... ...
- 슈퍼 장마 부르는 제트기류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호우 연구에서 늦은 밤에서 이른 아침 사이에 발생한 호우가 낮에 발생한 호우보다 25% 이상 많았다”며 “비슷한 시스템으로 발생한 호우에서도 야간에 강수량이 더 많다”고 설명했다.하층제트가 상층제트 아래로 통과하면 더 큰 호우 메커니즘이 만들어진다. 초속 25m의 속력으로 서쪽에서 ...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파랑돔과 노랑가시돔, 꼬리줄나비고기, 세동가리돔처럼 관상용으로 훌륭한 어류가 100종 이상 제주 바다와 남해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미래 식탁을 장식할 특별 해산물 요리감도 있다. 중국에만 살던 중국굴은 2~3년 전부터 제주 바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에서는 각종 요리에 이 굴을 ... ...
- 아이스크림이 혀에 착 감기는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8호
- 크기가 35~55μm인데 빙과류 아이스크림은 얼음이 55~70μm 크기다. 얼음 알갱이 크기가 55μm 이상이면 혀에서 얼음이 느껴진다.샤베트도 빙과류처럼 얼음 알갱이가 크다. 이런 아이스크림은 가정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다.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처럼 부드러운 식감이 중요한 아이스크림은 프리저로 급속 ...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약품을 개발하는 일이 활발해졌다. 이미 프랑스에서는 100여 종의 곤충에서 175가지 이상의 물질을 발견해 의약품으로 개발 중이며, 호주에서도 항암, 살충제 분해, 항균성 물질 등을 추출해 연구 중이다. 일본의 미에대학교 연구팀은 흡혈 곤충의 침 속에 있는 단백질이 피가 굳지 않게 한다는 점에 ...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미세조류를 하찮게 여기지 말자. 이렇게 작은 미세조류가 하는 일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우리가 해산물을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이 미세조류가 바닷물 속에 우글거리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클로렐라, 스피룰리나와 같은 미세조류는 건강식품이나, 우주인의 식량으로 ... ...
- 쥐, 인간을 구하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않아요. 쥐의 형질을 찾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거든요. 다른 연구팀에서 만들었지만 이상 형질을 미처 발견하지 못한 쥐에서 새로운 형질을 찾아낸 경우를 소개해 드릴게요. 서울대 수의학과의 성제경 교수님이 바로 주인공이에요. 아낙(AHNAK)이라는 유전자가 망가진 쥐는 겉보기엔 멀쩡하대요. ... ...
이전5565575585595605615625635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