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원칙이다.이르면 7월 늦으면 9월 발사이 때문에 이미 발사가 몇 차례 연기되기도 했다.
지난
7월 13일 오후에도 발사 예정 시간 2시간 30분을 남겨 놓고 연료탱크 센서에 문제가 발견되자 NASA는 5분간 회의 끝에 발사를 연기했다. 센서 4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는 경우 결코 우주선을 발사하지 않는다는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세계에서 독도함과 같은 다목적 대형 상륙수송함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 해군이 있으며
지난
해말 프랑스 해군이 미스트랄급을, 이탈리아 해군이 까보급을 건조한 바 있다. 일본 해상자위대가 보유한 오수미급 상륙함은 우리가 건조한 독도함에 비교해 2/3 수준이다. 이번 독도함 건조는 급속히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기술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와이어드넥스트 2005’가
지난
6월24일~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세계 각국의 100여개 첨단 연구소와 기업이 참여해 통신·디자인·엔터테인먼트·탐험·보건 각 분야에서 성큼 다가온 첨단 기술 사회의 청사진을 그렸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개의 백조목 플라스크가 진열돼 있는데, 그 속의 영양액은 파스퇴르가 넣은 지 145년이
지난
지금까지 멸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은 실험실에서 쉽게 재현할 수 있다. 단 설탕을 넣은 효모액 대신 다른 영양액을 쓸 경우에는 더 오랫동안 끓여줘야 하며 이는 파스퇴르 ... ...
즉석필름카메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지난
1948년 미국 폴라로이드사에서 즉석카메라가 처음 나왔을 당시 그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출시된 첫해 판매량만 650만대에 이르렀으니 말이다. 셔터버튼만 누르고 불과 2~3분 안에 사진을 쥘 수 있다는 점은 디지털시대에도 즉석카메라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다. 순수한 화학반응만을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편견이 생기는 것도 이런 이유다.실제로 뇌가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은 좀 더 복잡하다.
지난
해 말 영국 런던대 피아 로트시타인 박사팀은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와 미국 배우 메릴린 먼로를 합성한 사진을 보여주면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찍어 이 과정을 밝혀냈다.얼굴을 보는 순간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천문연은 이번 방문기간 동안 현재 건설중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전파망원경들을
지난
2001년 완공된 NAOJ의 전파망원경(VERA)과 네트워크로 연결해 공동 운영하는 협정을 체결했다. 현재 천문연은 2007년 완공을 목표로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를 서울(연세대)과 울산(울산대), 제주(탐라대)에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카나리아 제도의 동쪽 끝에 있다.오랜 화산 활동은 섬의 대지에 독특한 색깔을 남겼다.
지난
1730년 일어난 대폭발은 무려 6년 동안이나 계속됐다. 화산 30여개가 동시다발로 폭발했을 당시 온마을과 땅은 약 10km 길이의 용암으로 뒤덮였다.다시 90년이 흐른 뒤 일어난 1824년 대폭발은 섬 지형을 또 한번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마케팅회사, 자동차대리점 등에서 일할 수 있다고 소개한다.중·고생을 위한 검사로는
지난
1999년 한국에 도입된 스트롱 진로탐색검사가 있다. 진로를 선택하기 위한 준비가 돼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진로성숙도 검사가 추가된 것이다. 개인의 흥미유형을 파악해 직업세계를 탐색해 볼 수 있는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통해 최근까지 큰 진전이 없던 한국의 척추고생물학 분야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가
지난
2002년 경남 하동군에서 발견한 악어화석 세계 고생물학계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속(屬)과 종(種)의 악어인 것으로 밝혀냈다. 일명 ‘하동수쿠스 아세르덴티스’. 이 박사는 또 시화호 주변에서 발견된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