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쇠똥구리가 쇠똥을 굴리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2호
- 이유에 대해 연구를 많이 했답니다. 똥을 촘촘하게 뭉쳐서 옮기면 우리 몸보다 훨씬 큰 똥 덩어리를 한 번에 옮길 수있어요. 또 둥근 똥구슬은 우리 집인 굴속에 저장하기가 쉽지요. 영양분을 따로 모으지 않고 똥 덩어리째로 옮기면 다른 곤충이나 동물들에게 빼앗기지도 않는답니다. 그런데 최근 ... ...
- 고발합니다! 스마트폰은 유죄 ?무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잡아넣는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닙니다. 오히려 스마트폰은 잘만 사용하면 교육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귀뚜라미 탐사대는 스마트폰을 사용해 귀뚜라미 노래를 녹음하고 사진촬영도 했습니다. 또 GPS나 온도처럼 탐사에 꼭 필요한 정보들까지 기록할 수 있어 어디서든 쉽고 편하게 자연탐사를 ... ...
- 새로운 가족을 발견한 보물섬, 독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1종이지요. 식물은 가는금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좀돌피, 물피, 큰방가지똥을, 곤충은 큰횡줄가는잎말이나방과 침벌류를 발견했어요. 버섯류인 쌀경단버섯도 발견했지요. 독도에서 버섯을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래요. 지금까지 전문가들이 독도에서 발견한 생물종은 모두 640종이에요. 바람이 ... ...
- 반짝반짝 통통! 빛나는 탱탱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낮은 곳에서 떨어뜨린 탱탱볼 보다 더 높이 튕기잖아. 높은 곳에 있는 탱탱볼이 더 큰 위치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이죠? 맞아! 나은이 정말 똑똑한 걸? 그런데 솔직히 말하면 내가 아주 약간 힘을 줘서 던진 거 같기도하고…, 흠흠. 섭섭박사님, 뭐예요~. 정정당당하게 다시 대결해요~! 참여독자 : ... ...
- 세라피아에서는 도자시도 융합스타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수상작품을 전시하는 곳이야. 2001년부터 2년마다 개최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도자기 행사인 경기세계도자비엔날레는 각국의 최신 도자기 경향을 한눈에 볼 수 있지. 현대 도자기도 과학처럼 다양한형식과 문화를 융합해 복합적인 모습을 선보이고 있단다상상나라 곤충체험전도자기로 구운 곤충들의 ... ...
- 누님을 닮은 국화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누님 같이 생긴 꽃’ 말이야.잉? 송편 양, 국화꽃 본 적 없어? 노랗고 그, 그 주먹만한 큰 꽃 있잖아!그건 국화꽃의 한 종일 뿐이잖아. 국화는 종도 많고, 종마다 색도 모양도 정말 다양하다 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개발한 국화 품종한 해도 이렇게 많은 걸? 정말 많지? 하지만 ... ...
- 2030년 전기로 달린다! 꼬마 전기자동차 붕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만드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죠.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큰 차를 좋아하지만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작은 차가 경제적이에요. 한두 사람이 움직이는데 3000~4000㎏의 차를 모는 건 낭비니까요. 2030년이 되면 전기자동차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될 거예요. ... ...
- 귀뚜라미의 사랑고백 엿듣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조금씩 소리가 달라요. 귀뚜라미 소리를 분석해 보면 지역의 생태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답니다.귀뚜라미가 부르는 사랑의 세레나데를 듣고 우리 동네 생태지도를 그려 볼까요? 날개만 있으면 바이올린도 저리가라~수컷 귀뚜라미는 번식기인 가을이 되면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 양쪽 ... ...
- 제1회 국립과천과학관 온라인 과학게임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9호
- 뜻해요. 우리나라 뿐 아니라 프랑스, 미국, 독일 같은 많은 나라에서 학습 게임에 대해 큰 관심을 갖고 있어요. 특히 프랑스에서는 이번에 우리가 개발한 과학, 수학 게임에 많은 관심을 보였어요. 그래서 국립과천과학관에서 G러닝 국제세미나를 열고 초청하기도 했답니다.저도 온라인 학습용 ... ...
- 내가 뽑은 차세대 전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방향을 바꿔 움직이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전투기가 받는 저항이 조종사가 조종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첨단 전투기들은 조종간을 움직이면 전기 신호가 날개를 움직이고, 조종사가 실수해도 컴퓨터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움직임을 조절해 주는 기술(Fly By Wire)로 움직이기 때문에 조종이 ... ...
이전5565575585595605615625635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