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대전"(으)로 총 5,6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션수행] 사이언스데이가 좋아 ♥♥♥ 국립중앙과학관 사이언스데이 체험기사 l20140417
- 과학교실 (홈페이지 : http://www.ibs.re.kr/kr/) 친환경무동력 오토마타 만들기 (서울대학교 Eco Love Science club) 달의 월령조견판(대전시민천문대 홈페이지 : star.metro.daejeon.kr) 태양흑점 관측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 : www.kasi.re.kr) 스마트 원자로퍼즐 맞추기 (한국원자력 ...
- 대전 월평동갑천변에서 불이 났어요 소방차가 와서 신속히 꺼서 다행이예요 사람도 없어서 다행탐사기록 l20140405
- 대전 월평동갑천변에서 불이 났어요 소방차가 와서 신속히 꺼서 다행이예요 사람도 없어서 다행이예요 ...
- 카메라의 기원 카메라의 기원의 대해기사 l20140324
- 그리고 이 카메라들 만큼 일반적이지 않지만, F2렌즈가 달린 에르마녹스(에르네만제)가 1924년에 발매되었습니다.2차세계대전까지 라이카·콘택스(차이스이콘 회사)를 정점으로 하는 35mm 카메라군, 롤라이와 수많은 2안리플렉스, 여기에 스프링 카메라군이 카메라의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전후에는 펜타프리즘을 채택한 35mm 1안리플렉스나 EE카메 ...
- 대전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다녀왔다. 외삼촌이 근무하셔,앞으로 만들 아리랑 5호와포스팅 l20140322
- 대전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다녀왔다. 외삼촌이 근무하셔,앞으로 만들 아리랑 5호와 나로호의 내부도 설명해 주셨다. ...
- 화성의 생명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잠깐상식 JPL은 제트추진연구소인데, 제트추진 연구는 안 하나요? JPL은 원래 로켓 엔진을 개발하는 연구소로 출발해 제2차 세계대전 때는 미사일을 만들기도 했다. 그런데 지금은 더 이상 로켓 엔진을 연구하지 않고, 대신 탐사 위성이나 감지기 등 아주 정교한 연구 장비를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로켓 엔진 기술이 발달해 민간 회사에서도 충 ...
- 어린이과학동아 100호를 빛낸 사건BIG. 5!어린이과학동아 l20081111
- 대단해요~! [소제시작]셋. 다양한 체험 행사![소제끝] ‘어린이과학동아’는 독자를 만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어요. 2005년 5월 5일 대전 꿈돌이축제를 시작으로 2006년 8월에는 화성우주탐사캠프를 떠났고, 2007년 11월에는 창간 3주년을 맞아 독자 33명과 함께 에버랜드로 소풍도 갔지요. 2007년부터는 매년 부천만화축제에 참가해 만 ...
- 펄떡펄떡~! 살아 숨쉬는 습지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10월 28일부터 11월 4일까지 경남 창원에서 열리는 제10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를 기념해 ‘하천 및 습지 생태계 사진대전’의 수상작을 발표했어요. 계절에 따라 아름답게 변하는 하천과 습지, 그리고 그 곳에서 사는 동식물의 생명력 넘치는 모습들이 선보였답니다. 사진을 보면서 우리나라 습지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세요. 대상 - 비상(김후엽) |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그냥 도로를 달린다는 건가요? A 물론이에요. 동영상을 직접 보면 알겠지만 운전석에 사람이 없어도 잘 달려요. 지금도 서울에서 대전 갈 때 종종 이 기능을 이용하지요. 맑은 날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로 달릴 정도로 성능도 뛰어나요. Q 그럼 정말 ‘무인 운전’이 완성된 거네요? 지도나 내비게이션도 필요 없고 운전사도 없어지겠어요! A 아니에 ...
- 자연이 준 선물, 천연기념물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모여 있는 천연기념물센터를 다녀왔단다. 어떤 곳인지 궁금하지? 눈은 크게~, 귀는 쫑긋 세우고 같이 가 보자. 천연기념물센터 위치 : 대전 서구 만년동 396-1 관람료 : 무료 관람문의 : 042-610-7660~2/www.nhc.go.kr [소제시작]소중하고 귀중한 보물, 천연기념물 [소제끝] 천연기념물센터에 들어서니 커다란 나무가 우리를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1)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돼 식량 부족으로 고통 받는 사람이 크게 줄었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폭발물의 원료로도 쓰였다. 따라서 하버의 발명은 제1차 세계대전 때 폭탄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했다. 한편, 하버는 조국인 독일을 위해 독가스를 개발하는 일에 앞장섰기 때문에 ‘화학 무기의 아버지’로 불린다. 무기가 된 안전폭약 - 다이너마이트 ...
이전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