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국서 유전자 교정 식품 식탁에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농부들을 위해 새로운 품종의 농작물을 개발해 왔다. 연구소 책임자인 마리오 카카모
교수
는 "기후 변화로 더 덥고 건조해진 영국에서 더 잘 자랄 수 있는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데 유전자 교정 기술을 활용하고 싶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독소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며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
교수
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KAIST 양자대학원 운영 돌입..."석박사급 양자 인재 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공동지도
교수
제’와 학생 참여 공동연구 등을 도입한다. 김은성 KAIST 양자대학원 책임
교수
는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와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시카고대학과 아르곤국립연구소처럼 대학과 연구소가 협력해 세계적인 연구와 교육의 허브로 자리매김한 사례가 많다”며 “양자기술의 미래 ... ...
한국전기연구원, 가톨릭대와 방사선 암 치료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전자기파융합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강영남 서울성모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세계적 수준의 ‘방사선 암 치료용 선형가속기 및 마그네트론’ 관련 기술을 다수 확보했다. 이 기술은 진공 공간에서 발생하는 전자빔의 전기 에너지를 고출력 전자기파 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 ...
베토벤 사망 원인이 납 중독?...머리카락이 알려준 'B형간염'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비교해 볼 때 베토벤의 부계 조상 중 혼외 자식이 있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크라우제
교수
는 “우리의 주요 목표는 베토벤의 건강 문제를 밝히는 것이었다”며 “유전자로 베토벤의 건강 문제와 사망 원인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 ...
우주선과 충돌한 소행성, 태양계 형성 비밀 알려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분석에 참여하고 있다. 캐롤린 언스트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연구소 행성과학과
교수
는 지난 13일 미국 텍사스에서 개최된 제54회 달 및 행성과학 회의에서 “다트 프로젝트는 큰 성공을 거뒀다”며 “과학적 관점에서 볼 때 보물 창고와도 같다”고 말했다. ... ...
세월호 유가족 57%, 참사 6년 후에도 '트라우마'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81%가 자녀를 잃은 슬픔과 애도로 고통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채정호
교수
는 “일반적으로 큰 사고를 겪은 이후 시간이 지나면 애도와 같은 부정적 감정이 사그라들어야 하지만 세월사고 유가족이나 생존자가족은 오랫동안 회복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 ...
뇌 내부 '나침반' 작동 방식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연구팀은 이번 발견이 알츠하이머 등 치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브랜든
교수
는 "알츠하이머의 첫 번째 증상은 익숙한 환경에서도 방향 감각을 상실해 길을 잃는 것"이라며 "뇌 내부 나침반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더 잘 이해하면 알츠하이머를 조기에 발견하고 ... ...
리튬이온전지 대체, 폭발 위험 없는 레독스 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용량만이 감소하며 총 45일간 작동 시 처음 용량 대비 2%만 감소한다는 의미다. 변혜령
교수
는 "용해도가 낮은 유기 활성 분자를 활용해 레독스 흐름전지의 활성 분자로 사용할 수 있는 분자 디자인 원리를 보였다"며 "향후 수계 레독스 흐름전지로 사용 시 고에너지밀도, 고용해도의 장점과 함께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마이크로 LED 소자 효율 높일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채영찬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서판길 한국뇌연구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GPR143' 단백질이 암세포가 엑소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생체분자 물질을 선별해 포장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디벨럽멘털 셀(Developmental Cell)'에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