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최고기록은 6백22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에서 설계한 인공심장으로 송아지 등
동물
에 실험 중이다. 이밖에도 당뇨병 치료를 위하여 인공췌장이 개발되고 있다.이와같이 인공장기에 의하여 인체의 손상된 부위가 대부분 보완되고 있지만 신경계의 보철(補綴) 기술은 초보단계에 머물고 있다.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비슷한 의미를 지닌 다른 말들인데, 우리나라의 과거기술사에는 아직까지 이 땅의 토착
동물
을 세계인들이 알 만한 품종으로 개량해낸 예가 없다.2백여 두의 원종 집단인 경북 경산 삽살개 중에는 좋은 소질을 가진 개체들이 많이 있다. 지능면에서 셰퍼드 못지 않게 영리한 삽살개, 크고 잘 생겼으며 ... ...
다이어트 희소식, 식욕 억제하는 단백질 규명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자극하는 것과 억제하는 것의 두 그룹으로 나누는데 성공했다. 억제하는 단백질을
동물
에게 투여하자 체중이 50%나 줄어들었다.욕망자극 단백질은 오전중부터 늘어나기 시작해 점심시간에서 저녁식사까지 지속된다고 하므로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사람이 많은 이유도 설명이 된다.또 하나의 특징은 ... ...
물에 녹여 쓰는 인공적혈구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감염의 위험도 없고 거부반응도 없게 된다. 게다가 몇번이고 반복사용할 수 있다. 이미
동물
실험에서는 좋은 효과를 얻었으며, 언제라도 인간에 대한 임상실험이 가능한 단계에 와 있다고 한다 ... ...
동물
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동물
들도 '말'을 가지고 있다. 풀벌레들의 울음부터 초저음파나 초음파를 사용한 고래나 박쥐의 대화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점차 그 베일이 ...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들의 의사교환 수단과 방법에 대한 이해가 깊어질수록 인간과
동물
간의 유대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 ...
생물 -
동물
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분비된 지 오래된 페로몬의 냄새에 현혹되는 일은 거의 없다. 본능인가 지능인가하등
동물
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본능행동은 어쩌면 지능이 있어야만 가능할 것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이들의 신비한 많은 행동은 자극에 대한 반응의 결과로서만 행해지는 것이다. 자극에 대한 반응은 일반적으로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아직 모른다. 실험실에서는 성장한 식물의 세포를 복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성장한 포유
동물
의 경우는 아직 요원한 상황이다.참고로 소개하자면 세계 유전공학자들은 인간 염색체의 염기배열 모두를 알아낸다는 야심어린 목표를 세우고 인간게놈계획(HUGO)을 추진하고 있다. 인간의 염색체 속 3 ... ...
평생 갚아도 다 갚지 못할 스승의 은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할 수 있는 일을 다 했을 뿐'이라고 할 뿐이었다.일본에서 첫째 가는 진화학자이자
동물
계통분류학자였던 그분 밑에서 학위 과정을 밟았던 적지 않은 대학원생들은 엄한 성품을 가진 선생과 감히 접촉하기조차 어려웠다. 선생이 작고한 후 학회에서는 추모 기념 학술지를 간행하기도 했고 그 분의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자체가 소멸해 버린 듯하다.그러나 이미 이때 남북아메리카의 연결은 끊어지고 북미의
동물
군과 식생을 덮친 생물 그룹의 대폭적인 교체는 남미에는 전혀 미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남미에서 육지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남극,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에도 북반구를 둘러싼 변화는 영향을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것을 지난 83년 8월 16일 서울 창경원으로 옮겨져 치료받은 후 지금은 과천 서울대공원
동물
원에서 보호받고 있다.지구상에 잔존하고 있는 황새의 총개체수는 6백 50여 마리로 멀지 않아 영원히 사라질 위기에 있다. 한반도에는 매년 2-3마리가 월동지인 제주도와 서해안에 날아들고 있는데, 지난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