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빙빙 도는 꽈배기 빌딩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각 층을 빙빙 돌리려면 에너지를 엄청 많이써야 할 텐데요.무슨 실례의 말씀을! 층과 층
사이
에 작은 회전 날개가 보이지 않으세요? 이게 바로 풍력발전을 하는 풍차라고요. 바람이 불면 48개나 되는 풍차가 빙빙 돌면서 전기를 만들어요. 에너지는 내가 스스로 만들어 쓴다구요.와~, 대단하네요.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볼까?나츠미 양(10세, 학생)의 이야기저번에 공원으로 산책을 나갔을 때 제가 한눈을 파는
사이
에 우리 강아지 미미가 없어졌어요. 전 휴대전화를 꺼내 인터넷에 접속했지요. 주소를 입력하자 인공위성에서 찍은 우리 동네 영상이 화면에 나타났어요. 저는 화면 속에서 미미를 찾아 냈어요. 미미가 ... ...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사랑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열쇠 두 개와 빨간 열쇠 두 개를 보여 주고 파란 열쇠가 몇 개인지 물으면‘두 개’, 둘
사이
에 다른 점이 무엇인지 물으면‘색깔’이라고 대답할 정도였지요. 그처럼 똑똑했던 알렉스가 지난 9월 7일, 31세의 나이로 자연사했어요. 알렉스에게 30년 동안 말을 가르쳤던 미국 브랜다이스대학교 ... ...
공룡 멸종시킨 밥티스티나 운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밥티스티나 소행성대에서 왔다고 주장했어요.1억 9000만~1억 4000만 년 전 화성과 목성
사이
에 있던 두 소행성이 충돌했어요. 이 때 지름 10㎞ 이상의 파편 300여 개와 지름 1㎞ 이상의 파편 14만여 개가 생겨났어요. 이 지역을 밥티스티나 소행성대라고 부르지요. 이 중 태양 에너지에 의해 방향을 바꾼 1 ... ...
북극 빙하야, 더이상 울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북극에서 그 현장을 직접 보니 두려운 마음이 들었어.빙하가 바위섬에 남긴 상처최근 2년
사이
에 빙벽이 200m 정도 줄어든 것 같아요.”항해사 크리스토퍼 아저씨가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얼마나 빨리 녹는지 설명했어. 크리스토퍼 아저씨는 이 곳에서 15년을 살았고 5년째 보트를 몰고 있대. 아저씨는 ... ...
세계 최장수 다이아몬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마침 연대를 알아보는 데 널리 쓰이는 광물이었어. 지르콘을 분석한 결과 내가 30~42억 년
사이
에 태어났다는 결과가 나왔지.요즘 폭발적인 인기로 바쁘신데 인기 비결이 뭐죠?역시 긴 세월에도 변치 않은 잘생긴 얼굴 때문이 아니겠어? 후훗. 사실은 난 ‘암흑기’ 로 불리는 지구 초기 모습에 대한 ... ...
남자같은 여자 여자같은 남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있는 부분도 더 튀어나와 있지요. 여자는 남자에 비해 이마가 넓고 눈이커요. 눈과 눈썹
사이
의 거리도 더 멀어요.태어날 때부터 이런 차이가 나는 건 아니에요. 갓난아이의 얼굴만 보고 남자인지 여자인지 종종 헷갈렸던 경험이 있을 거예요. 갓난아이는 남자든 여자든 별다른 차이 없이 동글동글한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우주인은 참을성과 협동심이 강해야 해요. 선생님과 부모님 말씀을 잘 듣고 친구들과도
사이
좋게 지내야 하지요. 또 외국어 능력도 중요해요. 지금부터 러시아 어 공부를 할 필요는 없지만 영어 공부는 필요하답니다. 이 외에도 과학이나 수학 등 모든 공부도 중요하죠. 물론 책을 많이 읽고, 많이 ... ...
빨강 파랑 노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아주 작게 만들었어요. 무려 머리카락 1만분의 1 굵기죠. 이것을 두 개의 투명한 금속판
사이
에 바른 다음 액체를 채워 1.5V 건전지에 연결하면 10초 안에 유리의 색이 변하는 거예요. 사실 이미 비슷한 기술이 있었어요. 그런데 워낙 돈이 많이 드는데다 변하는 색도 한정돼 있었죠. 연구소가 이번에 ... ...
반짝! 별똥별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민엽이를 위해 닥터고글은 제트를 타고좀 더 먼 우주로 나갔다. 그러자 태양과 지구
사이
를 지나가는 빛나는 무언가가 보인다.“저기 보이는 혜성이 바로 유성우를 만드는 거예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혜성은 암석조각과 먼지를 남기고, 지구가 이 지역을 지날 때 한꺼번에 많은 암석조각과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