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와 교육부, 학교 미세먼지 잡기위해 나선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돌아가며 개최하는 행사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된다. 국내외 석·박사 과정 학생
100
여 명이 참가해 핵융합 전문가들의 강의를 듣고 한국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 현장도 볼 계획이다. ◆ 2019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신년하례식이 2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렸다. 이명철 ... ...
첨단 소재로 모형 자동차 만들며 과학자 꿈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대한 흥미를 키우고 미래에 대한 꿈을 갖도록 돕기 위해 대전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00
명을 초청해 ‘삼양 과학캠프’를 열었다.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다. 캠프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은 캠프 속 여러 체험 프로그램에 함께 하며 생활 속 숨은 과학원리를 찾아 나갔다. 다양한 형태의 미래 ... ...
팔뚝에 쓱… 피임약, 먹지 말고 바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달간 임신을 막는다. 연구팀은 약효 지속기간을 6개월로 늘리고 생산 비용을 약 11만 원(
100
달러) 미만으로 낮춰 피임 패치를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호르몬 방식의 피임약은 자칫 신체 활동을 교란하거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뒤따른다. 이에 따라 호르몬을 쓰지 않고도 오래가는 ... ...
정밀 현미경
100
년 노하우로 암세포 3차원 영상 얻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1
산란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지닌 고도기능인정자(기술 장인)들을
100
년간 육성해왔다.
100
년의 역사를 가진 일본의 기업 올림푸스의 나가노 공장의 렌즈제작공정중 렌즈를 다듬는 연마공정에서 42년간 일해 일왕으로부터 고도기능인정자 지위를 인정받은 하라 가즈이치씨(왼쪽)와 렌즈 공정의 최종 ... ...
“
100
년 장인의 기술력과 AI 접목해 고성능 렌즈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결합한 새로운 광학 기술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 일본 광학회사 올림푸스는 올해로
100
주년을 맞았다. 오가와 하루오 올림푸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지난 15일 일본 도쿄 신주쿠에 위치한 올림푸스 본사에서 마련한 연구개발(R&D)방향과 최신기술발표회에서 "35년 넘는 연구 끝에 현미경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저출산의 미스터리
2019.01.20
아이를 낳을 수 없기 때문이죠. 게다가 출생 당시의 성비는 약간 남성 편향입니다.
100
명의 아기가 태어나면 대략 55명이 아들입니다. 이뿐 아닙니다. 아기를 낳았다고 해서
100
% 건강한 성인이 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번식 가능 연령에 이르기 전에 질병이나 사고로 일찍 죽을 수도 있죠. 따라서 ... ...
100
0배 정확한 조류인플루엔자 현장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오류 없이 정확히 AI만 진단하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1mL 혈액 시료에 AI 바이러스가
100
개 정도만 섞여 있는 아주 희박한 농도에서도 정확히 AI만 검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마치 임신진단기와 비슷하게 혈액 시료를 센서에 떨어뜨려 두 줄의 선이 나오는지로 감염 여부를 파악하던 기존 ... ...
긴급 구조요청 위치 파악 정확도 높인다...과기정통부, 경찰청, 소방청과 기술 개발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경우, 현재의 긴급 구조시스템을 통해 파악하는 구조 요청자의 위치 범위는 오차 범위가
100
m에 이른다. 한시가 급한 때에 구조 요청자의 위치를 찾느라 시간을 허비할 우려가 있다. 실내 위치 역시 위치 측정 정확도가 낮은 편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무선통신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속 깊은 곳까지 분자 단위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0
형광 분자를 특정 단백질에 달아 단백질을 분류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미터(㎛,
100
만분의 1m)까지 볼 수 있다. 베치그 교수에게 2014년 노벨 화학상을 안겨준 초고해상도 형광현미경은 빛을 계속 쪼이는 방식이라 형광 분자가 형광을 잃는 표백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기술을 ... ...
21세기 후반 책임질 차세대 입자가속기 FCC 건설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8
개념설계보고서’를 공개하고
100
TeV(1TeV는 1조eV·테라전자볼트)의 에너지를 내는 이 약
100
km의 입자가속충돌기를 건설하겠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스위스 제네바 근방에 있는 현존 최고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보다 4배 길고 최대 7배 강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LHC는 우주 탄생 직후 상황인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