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순간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파괴하지요. 지난 4월 8일, 브라질 오스왈도 크루즈 재단 연구팀은 200만 배까지 확대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핵에 들어가려는 순간을 포착했어요. 위 사진을 찍은 연구팀은 “앞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할 것”라고 말했답니다 ... ...
[만화뉴스] 항문 주름 인식 중…, 당신의 똥을 분석해 드립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변기 속에는 포도당과 적혈구
수
치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있어 요로감염 등을 확인할
수
있어요. 연구진은 “이 정보들은 매우 민감한 개인 정보라 의료진의 시스템에 전송된 후 변기엔 저장되지 않도록 보안을 강화했다”고 밝혔답니다 ... ...
[과학뉴스] 코로나19 바이러스 연주곡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부위를 쉽게 찾기 위해서예요. 연구에 참여한 마쿠스 부엘러 교
수
는 “숙주 세포와 결합하는 부위에 해당하는 음악 소리를 찾으면 되기 때문에 빠르고 직관적인 방법”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시사과학] 하늘을 뒤덮은 사막메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오리를 파견할 계획을 세우기도 했지요. 오리 한 마리가 하루에 메뚜기 200마리를 먹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파키스탄의 피해지역은 사막이라 건조한 지역을 견디기 어려운 오리는 비효율적이라는 우려도 나오지요. 그렇다면 대규모의 메뚜기 떼는 왜 생겼을까요? FAO는 이 메뚜기 떼의 원인을 ... ...
박람이가 남긴 마지막 선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내고
수
의사가 지나갈 때마다 숨기도 한다. 조금 속상하지만 동물들의 건강을 위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이날은 새끼 호랑이들의 앞니가 나오기 시작한 지 며칠이 지난 때였다. 잇몸이 간지러운지 무엇이든 물려고 해서 담당 사육사가 호랑이들이 가지고 놀 작은 고무공을 넣어주었다. 그런데 몇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생일을 맞아 특별 웹페이지를 열고 그동안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떤 일을 해 왔는지 볼
수
있는 영상과 사진 등을 공개 했답니다.그중 사람들의 생일에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떤 사진을 찍었는지 찾아보는 ‘내 생일 이미지’ 페이지가 주목받고 있어요. 위에 보이는 거대 비누방울 같은 사진은 4월 1 ... ...
[이달의 과학사] 신경 구조를 밝힌 라몬 이 카할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신경계의 구조를 밝힌 공로로 1906년 함께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지만, 심지어 노벨상
수
상 강연에서도 상대방의 이론을 비난했지요.이 논쟁은 그들이 죽고 난 후에도 무려 50년 넘게 이어졌답니다. 1950년대에 발명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니 신경 세포 사이에서 미세한 틈이 발견되었어요. 카할의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있어야 배가 노를 저어 앞으로 나갈
수
있듯, 드론도 공기가 있어야 날개를 돌려 움직일
수
있거든요.다만 국제우주정거장(ISS) 내부에는 드론이 날아오른 적이 있어요. 2017년 일본우주국이 보낸 ‘인트볼(사진)’이지요. ISS 내부에는 중력은 없지만 공기가 있어, 인트볼이 떠다니며 작은 회전 날개 1 ... ...
[과학뉴스] 3.5밀리초만에 물체 피하는 드론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드론은 짐을 옮기거나,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의 영상을 찍는 등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장애물을 빨리 피하기는 어려워요. 드론에는 물체와 ... 것”이라며 “지진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 제한된 배터리로 빠르게 비행해 더 많은 사람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만화뉴스]생선 비늘로 만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비늘 외에도 목화섬유나 비단실 단백질 등 다른 생물학적인 물질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먹지 않고 버려지던 생선 비늘이 플라스틱을 대체하길 기대하고 있답니다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