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KAIST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중요한 능력을 융합으로 보고, 2018학년도부터는 2학년 때 특정 전공 대신 융합기초학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도 마련했다. 신 입학처장은 “고등학교에서는 기본기를 다진다는 생각으로 인문학을 포함해 여러 분야에서 기초 실력을 기른 뒤 여러 사람과 대화하는 ... ...
- 다양한 관점에서 ‘행복’에 접근하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해보고 이를 나의 삶과 연관해서 고민해 볼 때 우리는 이 주제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이해에 다가갈 수 있다. 통합사회란 바로 이런 접근방법을 이야기하고 있다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얽혀있어서 앞날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건 불가능합니다. 셀던이 미래를 예측할 때 사용한 ‘심리역사학’은 가상의 학문이지만 과학자들은 실제로 국가의 미래를 수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지 연구했다고 해요. 미국의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은 소설 속에나온 심리역사학을 공부하고 싶어 가장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탁상시계와 달리, 휴대용 시계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중력의 방향이 제멋대로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한 장치가 시계학자 아브라함 브레게가 1801년 만든 ‘뚜르비옹’이다. ‘회오리 바람’이라는 뜻의 프랑스어인 뚜르비옹은 밸런스와 이스케이프 휠에 붙어 1분에 1번 정도 회전하며 한쪽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상대의 마음까지 꿰뚫어 볼 수 있던 걸까. 수학으로 분석하고 프로그래밍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포커 AI는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든다. 첫 번째는 상대의 성향을 분석해 약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전략을 찾는 방법을 쓰는 AI다. 다시 말해 학습하는 AI로 경기를 할수록 이길 확률이 높다. 이번에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친해야 한다”며, “이미 나와 있는 것보다 더 좋은 걸 만들려면 원리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원리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는 개발자가 펼칠 미래는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다 ...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직선에 의해 똑같이 두 부분으로 나눠지면 선대칭, 한 점을 중심으로 180° 회전이동했을 때 자기 자신과 완전히 겹쳐지면 점대칭이라 한다. 대니쉬 하트는 덴마크의 국기 모양을 응용해 만든 하트에서 출발했다. 작도와 합동, 대칭 원리가 더해져 지금은 수학 시간에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살균 작용을 한다. 고흐 그림의 가 색깔이 변한 이유는 이 빛을 쬐었기 때문이다. (기획 ‘반 고흐’ 참조)❷ 아주 작게 만든 컴퓨터 회로. 몸 속에 심어 신분증을 대신하기도 한다. (특집 ‘호모 사이보그’ 참조)❸ 날아오는 야구공을 방망이로 치면 야구공의 속도가 변한다. 이처럼 힘이 ... ...
- [과학뉴스] 수면 바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추운 겨울 잠잘 때 유용한 ‘잇템’이 있습니다. 뽀송뽀송 털이 달린 일명 ‘수면 바지’와 ‘극세사(極細絲) 담요’입니다. 면이나 모 등 다른 섬유보다 두툼하면서도 가볍고, 동물털이 아닌데도 폭신하고 따뜻합니다. 왜 그럴까요. 수면바지의 원재료는 극세사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 ...
- [과학뉴스] 머릿속에 이미지 떠오르는 시가 아름답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에드와르드 베셀 연구원은 “시각적인 이미지가 시의 의미를 전달하는 능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학과 창의성, 예술의 심리학’ 2017년 11월 30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7/aca000015 ... ...
이전559560561562563564565566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