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북태평양 연안 국가들이 협의해 그 태풍 이름을 없애고 새로운 이름을 설정한다. 7.
인간
에게 어떤 도움을 줄까 - 때 잘맞추면 가뭄에 단비 내리는 효자보통 태풍의 에너지는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10만배에 이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에너지는 태풍 자체의 바람 순환을 유지하는데 ... ...
로봇, 사이보그, 그리고 안드로이드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환경과, 그속에서 함께 살아야만 하는 자연의 무수한 생명체와도 공생하지 못하는
인간
에게 그것은 헛된 바램일까?용어설명인공두뇌학(cybermetics)제2차 세계대전 후에 생겨난 제어와 통신을 다루는 과학의 새로운 분야. 선박 조종술, 키잡이 등의 뜻을 가진 그리스어 kybernetes에서 파생된 말로서,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통증의 메커니즘과 치료책에 대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된다면
인간
이 육체적인 고통 없이 살 수 있는 날이 가까운 시일 내에 올지 모를 일이다 ... ...
3. 불임과 인공수정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살지 못할 거라고 생각해. 그러니까 보관하기 보다 없앴으면 좋겠어.노진영) 그건 너무 비
인간
적인 것 같아. 그러기보다는 다른 사람에게 주어 생활에 활력소를 불어주는 것은 어떨까. 계속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겠어.김현주) 그 수정란은 부모들의 합의에 의해서 원하는 대로 되어야 하고, 법으로 ... ...
3. 통증을 정복한다 : 우리 몸에는 '천연아편' 이 존재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사람이 통증을 느낄 때 스스로 치유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현재까지 뇌에 있는 호르몬성 물질이 통증을 조절한다는 가설이 대두돼 왔다. ... 그결과 아편성 물질과 유사한 화합물을 만들어 중독성 등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면서
인간
의 고통을 줄여나가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증가한다. 또 습기가 많아져 감전사고와 누전이 많아진다. 왜 전기는 고압으로 전송할까.
인간
은 전기자극을 어느 정도 견뎌낼까. 습기가 많아지면 왜 감전이 잘 되는 것일까. 함께 의문을 풀어보자. 얼마 전 강원도에서 30대 남자가 목숨을 잃은 사고가 있었다. 그는 저수지에서 낚싯대를 들고 ... ...
정체된 사고에 파문이 일어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신봉하는 과학자들에 의해 몰이해와 저항과 반감을 받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더욱
인간
적인 존경을 자아냈다.21세기를 주도해나갈 꿈나무를 가르치는 초등학교 교사가 된지 9개월째를 맞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과 나비효과와 같은 재미있는 이야기를 쉽게 풀어서 아이들에게 ... ...
두 얼굴의 장마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입력시키 후 시뮬레이션을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 시작 단계에 머물고 있다.
인간
이 자연을 개발하는 방식도 장마 피해에 한몫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매년 12월이면 독일 라인강을 범람해 커다란 피해를 입히는 장마를 생각해보자. 원래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강은 꼬불꼬불한 형태를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없지만 브라키오사우르스의 몸에는 상처가 많았을 것이다. 몸길이가 2m이내인
인간
도 전달 속도가 늦으면 불리하기는 마찬가지다. 눈 앞으로 날아 오는 공을 피하는 것은 시각의 의한 정보가 몸을 피하도록 만들지만, 발밑의 압정과 같이 미처 보지 못한 유해한 자극은 피부에 있는 신경을 통해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알리는 일 모두를 불과 몇 가지의 간단한 화학단어들을 적절히 조합해 만들어 낸다. 이는
인간
의 전유물로 생각하기 쉬운 언어의 기본적인 구조를 갖춘 엄연한 의사소통 수단이다.후각뿐 아니라 청각과 촉각도 개미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최근 20여년 간 활발한 연구로 상당히 많은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