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 보유대수와 함께 늘어나는 배기가스 공해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중대긴급경보로 정해놓고 있다.위험수준에 이른 한국의 오염치자동차 보유대수가 1백5
0
만대에 이른 우리나라도 자동차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문제가 이미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환경청은 86년에 국회에 낸 보고서에서 서울시내 터널의 질소산화물 농도가 기준치를 최고 16배나 넘고 ... ...
16메가 D램 개발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분야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NTT가 개발한 16MD램은 전자빔으로
0
.7μ(1μ은 1천분의 1㎜)의 미세한 전자회로를 만드는 것. 가로
0
.9㎜ 세로 16.6㎜의 칩 위에 약 4천만개의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등의 회로부품을 집적, 신문 64페이지 분량의 정보를
0
.4초내에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 ...
'우리 마을 아니라면 원전 건설 찬성'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찬성의견은 도시보다 읍면이, 교육수준이 낮고 연령이 적을수록 많았다. 한편 거주지역 1
0
㎞이내의 건설에 대해서는 반대가 73.5%로 찬성 24.2%보다 높아 원자력발전의 경제성과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가능한 위험에 직면하기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그 밖에 주요한 조사결과를 보면 원전에서 ... ...
인간의 폐와 환경을 파괴하는 디젤엔진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잇점으로 여타 차종에 비해 훨씬 잘 팔리는(유럽의 경우 시장점유율 15%, 판매증가율 2
0
%) 디젤차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이다.현재 자동차 매연배출량의 4
0
%를 디젤차량이 점하고 있는데 특히 그중엔 유독하고 부식성이 강한 유황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건물의 벽을 검게 그을려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를 검출하는 등의 낮은 에너지의 정밀실험도 이러한 연구에 밑받침이 될 것이다. 최근 1
0
년간 쌓인 실험사실과 속출한 이론적 아이디어는 소립자론의 새로운 통일을 이루고 있다. 자연법칙의 최종적인 이해가 멀지않아 이루어질 지 모른다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가름하는 것은 우주의 물질 밀도. 우주의 물질이 1㎝³당 ${1
0
}^{-29}$g 즉 지구만한 공간에 1
0
㎎이상의 물질이 있으면 닫힌 우주가 되고 그 이하면 열린 우주가 된다. 현재 추정되는 우주의 물질 밀도는 유감스럽게도 이 임계치보다 클 수도 작을 수도 있다고 계산되고 있을 뿐이다.닫힌 우주는 언젠가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혈전증을 일으키기 쉽다는 것은 일단 옳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그러나 실험을 계속하자 4
0
일 뒤에는 혈소판의 양이 줄어 혈액응고가 어렵게 되었다. 환경적응이라고도 생각될수 있겠으나 그동안에 혈청속의 단백질이 점점 줄어갔다는 점을 함께 생각해보면 간장에 병리적 변화가 생겼을 가능성도 ... ...
종합진단 기로에 선 선택-개발이냐 보존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사실상 불가능한 정책을 설계하고 논쟁하는 데 소모됐다." 미국의 '카터' 전 대통령도 '2
000
년대의 세계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가장 절실하게 느낀 것은 "막대한 양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정부지만 그것들을 모아 일관된 미래의 모습을 그려내는 것은 불가능 했다"는 것이다. 그 만큼 환경문제에 ... ...
한일 기술격차 해소를 위한 제안 경직적인 예산운영 피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4조3천89억9천만원(총예산의 31.2%)중 1%만 기술개발투자에 할애할 수 있다면 무려 4백3
0
억9천만원의 과학기술투자를 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이는 국방기술과 민간기술이 접목 및 보완될 수 있는 기술분야에 대해 국방예산 중에서 기술개발비를 다소 할애할 수 있는 고차원적 국가예산정책을 ... ...
생태계, 소리없이 운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들어서면서부터 산성비에 대한 경고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즉 서울시내에 pH 4.
0
이하의 강한 산성비가 내리고 있다는 것인데, 최근에 발표된 85년의 빗물의 산성도에 관한 KAIST의 조사에 따르면 서울 전체 지역에 내리는 빗물은 77.4%가 pH 5이하의 산성비였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피해의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