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1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光컴퓨터? ‘나노레이저’가 해답
동아사이언스
l
2013.12.03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미세기둥의 위치와
크기
를 조절하기 위해 10nm단위까지 제어할 수 있는 최첨단 반도체 기술인 ‘전자빔 식각’ 공정을 활용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기존 나노레이저를 구동하는데 필요했던 전류의 20분의 1정도인 5μA만 ... ...
도시 한가운데로 우주가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13.12.03
시나 지자체에서 만든 공공천문대지요. 보통 그런 곳은 컨텐츠보다는 망원경이나 건물
크기
같은 외적인 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천문대는 망원경을 전시하는 곳이 아닙니다. 작은 망원경으로도 얼마나 감동적으로 별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방문객에게 ... ...
주둥이가 부리로 바뀐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PNAS) 2일자에 발표했다. 9000만 년 전에 살았던 테리지노사우르스는 3~4미터
크기
의 대형 초식공룡으로 윗입술과 코 주위가 케라틴질로 덮여있었다. 케라틴은 새의 부리는 물론 사람의 손톱이나 발톱을 구성하는 단단한 단백질이다. 연구팀이 모델링한 테리지노사우르스. 주둥이의 일부가 단단한 ... ...
소행성 2008TC3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결과 이 천체가 지구를 향하고 있고 충돌이 임박하다는 게 밝혀졌다. 밝기를 토대로
크기
가 수미터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무튼 이런 상황은 처음 있는 일이라 그는 즉시 여러 곳에 이 소식을 알렸다. 추가 계산 결과 이 소행성은 13시간 뒤인 10월 7일 아침 5시 46분(현지시간) 아프리카 수단 ... ...
'응사' 윤진, 술 마시면 횡설수설하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02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두뇌 주파수
크기
중 세타파 위상과 감마파
크기
가 동시에 움직이는 ‘세타-감마 교차주파수 동기화’ 정도가 음주 상태에서는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세타-감마 교차주파수 동기화’ 정도가 높으면 인지 능력도 높아져 이성적인 판단이 수월해지고, ... ...
지구사랑 뜨거운 열기, 겨울 추위 녹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01
유다은 양은 독특한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탐사 활동이 끝난 후 음식점에서 매미 탈피각
크기
를 재던 아빠를 보고 음식점 주인이 깜짝 놀라 괴성을 질렀다고 한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음식에서 벌레가 나온 줄 알고 음식값을 못 받게 되는 줄 알고 자기도 모르게 소리를 쳤다고 것. 생태탐사는 ... ...
아이손 혜성, 보이지 않는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않은 이유에 대해 궁금증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혜성이 사라졌다고? 대도시 하나
크기
의 아이손 혜성은 2012년 9월 21일 발견된 새로운 혜성이다. 76년 주기로 지구를 방문하는 헬리혜성처럼 대부분의 혜성은 타원 궤도로 지구 주위를 공전한다. 하지만 아이손은 쌍곡선 궤도를 따라 ... ...
산업용 필수물질 아닐린, 저렴하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붙어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의 경우는 얘기가 다르다. ‘밴드 갭’이
크기
때문에 빛을 쏘여도 전류가 잘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밴드 갭은 페로브스카이트에서 전자가 뭉쳐있는 안정적인 부분인 ‘밸런스 밴드’와 전자가 없는 ‘컨덕션 밴드’의 에너지 차이를 의미한다. 밴드 갭 ... ...
정자(精子) 추적, 나노입자에게 맡겨봐
과학동아
l
2013.12.01
특성을 실제 정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를 ‘나노의학’지 11월호에 발표했다. 정자는
크기
가 작고 모양이 특이한데다 수명이 짧아 제대로 조사하거나 치료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연구팀은 폴리에틸렌이민 등으로 지름이 수~수십nm인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입자는 표면에 미세한 육각형 ... ...
아이손아, 해 뒤를 돌아 무사히 나오렴
동아사이언스
l
2013.11.28
닳아 없어지려면 지름이 200미터 이하여야 하지만, 현재 관측자료를 통해 아이손 혜성의
크기
를 추정해 본 결과 500미터에서 2킬로미터에 달하기 때문에 충분히 살아남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아이손에게 치명타를 날릴 수 있는 또 다른 원인은 태양의 조석력이다. 태양에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에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