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스페셜
"
필요
"(으)로 총 5,730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김광수 교수의 ‘이것만은 꼭!’ △우수 인재를 생명공학자로 키울 사회적 분위기
필요
△의사와 생명공학자 뿐 아니라 다양한 연구 분야 ‘융합’이 절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포기해서는 안돼 김광수 교수는 1977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학사 1979년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3년 KAIST 생물공학과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습관 깨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도전해야 △신약 개발 등 새 분야 개척할 지도자
필요
김성호 교수는 1960년 서울대학교 화학과 학사 196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화학 석사 1966년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물리화학 박사 1966~1972년 미국 MIT대 생물학과 연구원 1972~1973년 미국 듀크대 생화학과 조교수 19 ... ...
[바이오선진화!]“벤처 많아야 바이오 벤처 경쟁력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7.23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5%의 창업 성공률을 2~30%로 끌어올릴 수는 있습니다. 창업에
필요
한 각 단계의 성공률을 높이면 전체 성공률이 올라가는 것이지요.” 창업은 정부의 제도와 연구기관의 기술, 민간의 투자가 맞물려서 돌아가는 과정이다.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질좋은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국내 바이오 기업체가 성장하려면 ‘지적재산권 관리’와 관련해 제도적인 협력이
필요
하다고 지적했다. 그 자신도 지적재산권 관리를 소홀히 하다 큰 곤란을 겪은 일이 있기 때문이다. 지적 재산권에 대한 법률적 지식이 부족해 초기에 함께 연구했던 사원들이 연구 결과를 가지고 나가 새롭게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
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7.04
강규태 NEBS 29대 회장“순수 생명과학을 연구해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직장을 가질 수 있고, 과학자로서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 좋겠습니다.” 지난달 16일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하버드의대 요셉 마틴 컨퍼런스센터에서 제20회 NEBS(뉴잉글랜드 생명과학협회) 연례 컨퍼런스가 열렸다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많은데, 그러면 이미 지나간 게 많다”며 “많은 경쟁자를 뚫고 살아남으려면 정보가
필요
한 만큼 한국 정부가 자주 미국에 와서 사람들은 만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용환 박사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실험할 수 있는 사람 등 좋은 연구를 할 수 있는 사람이 한국에 못 들어가는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성장하려면 해외, 특히 보스톤처럼 모든 산업이 다 있는 지역으로 진출해서 함께 경쟁할
필요
가 있다. 한국 기업은 밖에 나오기를 두려워하면서 회사가 크길 원하는 것 같다. 수영을 잘 하려면 물에 들어가야 한다. ▽김공식 변호사=해외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의 특징은 한 마디로 ‘곰팡이가 피어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26
말했다. 양봉환 국장의 ‘이것만은 꼭!’ △첨단과학 ‘올인’은 그만…지원정책 다양화
필요
△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흐름 정부가 이끌어야 양봉환 국장은 1985년 한양대 행정학과 (학사) 1987년 한양대 대학원 (수료) 1986년 제30회 행정고시 합격 2002년 중소기업청 기술개발과 과장 2008년 ... ...
“세계적인 제약기업과 병원 등 바이오 분야의 ‘선수’가
필요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6.12
주도할 세계적인 제약기업
필요
△병원의 축적된 임상정보를 R&D로 이어가는 시스템
필요
안도걸 국장은 1986년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학부 1988년 서울대학교 정책학과 석사 2006년 미국 하버드대 행정학과 석사 2002년 3월~2005년 7월 기획예산처 민간투자제도과장 2005년 8월~2007년 9월 세계은행(IBRD) 근무 2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등 공산품을 만드는 산업들처럼 끊임없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규모의 투자가
필요
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GM 작물에 관한 기술 개발도 서둘러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당장 GM 작물을 먹지 않더라도 기후변화를 비롯한 각종 위기를 대비해 기술은 확보해야 한다는 것. 또 관련 기술은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