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스페셜
"
현재
"(으)로 총 5,704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수 있게 하는 지도를 만들 예정입니다.” ●실질적인 성과 낼 수 있도록 재구조화 필요
현재
바이오 연구는 신약, 유전체, 줄기세포, U-헬스케어, 뇌과학의 5개 분야로 나뉜다. U-헬스케어는 바이오와 정보기술을 융합해 어디서나(유비쿼터스)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모바일 의료를 뜻한다. 이중 뇌나 U ... ...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진단이나 분석용 연구에도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현재
미국과 유럽 등 국내외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세포 수준에서 입증된 패혈증과 관절염 치료 효과를 동물에게도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일자에 실렸다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1.24
- 1996~1998 보건복지부 중앙약사심의의원 - 2006~2011 코오롱생명과학 사업총괄(부사장) - 2011~
현재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 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1.09
2010년~2011년 일반직고위공무원 (지식경제부 정책연구관실/녹색성장위원회) 2011년~
현재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 신안업정책관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1.12.26
사용량을 2010년보다 25% 줄이고 온실가스 발생을 44% 감축할 수 있는 물걸러대기를
현재
50%에서 70%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물걸러대기는 논을 항상 담수상태로 유지하지 않고 며칠간 물을 뺀 다음 다시 관개하는 논농사 방식이다. 이와 더불어 축산업에서는 소가 장에서 음식물이 ... ...
“암덩어리에 BT발전 열쇠가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1.12.13
대학원 주임교수 2004~
현재
고려대 구로병원유전자은행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 2005~
현재
서울특별시 검도회 부회장 2007~2009 대한병리학회 이사장 2008~2010 고려대학교 학생처 처장 2009~2010 대한병리학회 감사 2010~
현재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상임위원회 위원 2010~
현재
대한암협회 집행장 ※ 이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대학원 의학과 의학박사 2004년~2006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MBA) 1998년~
현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교실 교수 2003년~
현재
고려대학교 연구소 한국인공장기센터 소장 2007년~2009년 고려대의료원 의무기획처장 2009년~2010년 보건복지부 HT포럼 공동대표 2009년~
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2800억원에 달하는 해양생명공학 시장을 2016년까지 6조원까지 확대하고 특허기술경쟁력을
현재
13위에서 6단계 오른 세계 7위 수준까지 끌어 올리는 것이다. 해양생명공학 분야의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은 30~40년 전부터 R&D에 끊임없는 투자를 해오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보다 20년 정도 앞서 심해 ... ...
바이오 산업이 지구온난화-급등하는 기름값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1.09.27
있다는 것. 양 단장은 “보수적으로 예측하기 위하는 이들도 15년 이내에 바이오매스가
현재
화석연료 사용량의 20~30%를 대체할 것이라고 하는만큼 연구단이 끝나는 9년 뒤 상용화를 확신한다”며 “문제는 누가 더 경제성을 더 높일 수 있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양지원 단장의 ‘이것만은 꼭!’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09.05
이 과장은 소통을 위해 1차적으로 생명공학 관련 연구 인력 풀(pool)을 정리하고 있다.
현재
학계에서 생명공학을 연구하고 있는 인력 대부분은 교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학원생이나 박사 후 연구과정 학생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이다. 생명공학 인력과 관련 연구 분야가 정리되면 ... ...
이전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