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기술 갖고 한국 찾은 옛 소련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207
초빙돼 왔다. 이온주입기술은 높은 에너지로 티탄 크롬 등의 이온빔을 가속시킨
다음
금속 표면에 쬐어 내부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고 금속의 경도를 높이는 표면처리기술로 군사 및 항공우주분야에 각광받는 핵심기술. 원자력연구소 최병호박사팀은 이 기술을 전수받아 금속이온주입기 시제품을 ... ...
냉장고의 열과학
과학동아
l
199207
열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최저온도로 규정된 영하 2백73℃일 때 뿐이다.
다음
으로, 바람이 불 때 시원함을 느끼는 현상은, 바람에 의해 피부에 묻은 수분(땀)이 증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분이 증발할 때 시원함을 느끼는 이유는 약간 복잡하다. 모든 물질은 앞서 말한대로 ... ...
퀴즈와 팀 경주로 학습의욕 높인다
과학동아
l
199207
등을 준비한다. 경주를 시작하기 전에 미리 각 팀의 앙초외 질량을 측정해 둔다. 그
다음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주어진 재료로 날달걀1개를 최소의 에너지를 소모하여 완전히 익히도록 한다. 달걀을 완전히 익힌 팀의 양초를 거두어 질량을 측정한다. 양초의 질량 변화가 가장 작은 팀을 승자로 ... ...
4. 한국체육과학 연구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06
'음지'에서 일한다. 운동선수가 경기에서 승리하면 선수 자신이 가장 각광받고 그
다음
으로 지도자가 매스컴의 표적이 된다. 체육과학연구원 이종각 기초연구실장은 "운동선수의 능력은 80%가 스스로 타고나고 15%는 지도자에 의해 길러지며 나머지 5%가 스포츠과학의 몫이다"라고 설명한다.그러나 ... ...
붙이는 약 전성시대 다가 왔다
과학동아
l
199206
피부의 자극은 피부질환과 막바로 연결될 수 있다.약물을 피부속으로 침투시키려면
다음
몇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분자량이 작은 약물은 각질층의 가는 구멍을 통해 대류적으로 전달된다. 이때 분자의 형태가 구형(球形)이면 분자량이 1백50인 약물까지만 피부 안으로 들어간다. 분자의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06
표면 부근을 지나는 경우 약 1.75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 현상의 관측은 일식을 이용하여
다음
과 같이 검증된다. 개기일식은 물론 낮에 일어나지만 이때 달이 태양을 가리는 덕분에 주변의 별들이 보이게 된다. 이 별들을 사진으로 찍어 두었다가 약 6개월 뒤 그 별들이 다시 밤하늘에 나타날 때 다시 ... ...
밥상에 그릇과 수저만 있다고 배부른가
과학동아
l
199206
교구설비 기준대로 갖출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좁은 실험실에서 많은 학생들이 수업하는 현실과는 거리가 먼 시설기준들이 ... 주시는 형이 다시 제게 힘과 용기를 줍니다. 이제 실험준비실에 가봐야 되겠습니다.
다음
수업시간이 다 되었군요.다시 뵐 때까지 안녕히 계십시오 ... ...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06
컴퓨터채점기의 원리는 간단하다.심판들이 펀치력과 정확도를 두루 보고 한회가 끝난
다음
매회 20점 만점으로 채점하는 저지페이퍼 방식과 달리 컴퓨터채점제는 경기중 유효타가 나올 때마다 심판들이 자기앞에 놓인 버튼을 눌러 판정한다. 이 때 5명의 심판 중 3명 이상이 버튼을 눌러야 점수로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06
풀리거나 밤늦게 자고 아침에 늦게 일어나게 되면 생체시계가 2,3시간 뒤로 밀려나고 그
다음
날은 다시 24시간 주기에 맞추어 지내야 하기 때문에 무리가 오고 질병이 생기거나 일의 성취도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초일리듬으로는 월경주기같은 것이 해당된다.이같은 여러 생체리듬 이외에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06
얘기만은 아닌 것이다.0.001mm 정도의 티끌같은 로봇이 환자의 혈관을 타고 환부에 도착한
다음
미세칼이나 레이저로 수술을 하는 광경을 상상해 보자. 이때 환자의 옆에 있는 의사는 머리에 쓴 디스플레이를 통해 수백배나 확대된 환부를 보게 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자신은 조그맣게 축소돼 ... ...
이전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