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d라이브러리
"
연구원
"(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24시간 밤하늘 연구하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있는 직경 10m인 켁(Keck) 망원경은 지금까지 설치된 가장 큰 규모의 광학망원경이다. 천문
연구원
은 2001년부터 하와이에 설립된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 천문대(CFHT)의 3.6m 망원경을 천문 연구에 실제 활용하고 있다.최근 들어 켁 망원경보다 훨씬 큰 직경 30m-1백m 규모의 초거대 광학망원경 건설이 ... ...
극한에서 피운 열정의 꽃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미지 외에 ‘그곳 역시 사람 사는 곳’ 이라는 포근함도 느낄 수 있다. 세계 각국
연구원
들이 어울려 얼음축구를 즐기고, 남극올림픽과 남극마라톤을 개최하는 모습에서는 부러움마저 든다.특히 ‘남극탐험의 꿈’ 에 실린 3백여장의 사진은 때로는 답답한 가슴을 시원하게 해주고, 또 때로는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멸균하면 죽는데 말이다.1982년 미 캘리포니아대 스탠리 프루시너 교수와 그의
연구원
데이비드 볼튼은 스크래피에 걸린 실험동물의 뇌조직에서 단백질 덩어리를 분리했다. 프루시너는 이 단백질을 프리온(Prion, Proteinaceous Infectious only)이라고 명명하고 스크래피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지목했다.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합성하는 동안 “70대인 자신과 60대인 허치슨 박사가 마치 갓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원
처럼 밤을 새며 일했다”고 말했다. 바이러스가 이럴진대 박테리아 게놈을 합성한다면 아마도 ‘수능시험을 보는 수험생과 같았다’는 말이 나오지 않을까.한편에서는 자칫 인체에 해롭거나 생태계를 교란시킬 ... ...
5. 공공서비스_편리하고 똑똑해진 공공 서비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지금 우리는 공공서비스를 온라인에서 받아보는 편리한 시대를 산다. 직접 담당 공무원과 마주 보고 대면해야만 했던 불과 몇년전과 달리, 이제는 집과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통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시대다. 예를 들어, 등기소에 직접 가서 확인해야만 했던 등기부등본을 이제는 내 책상에서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요약하면 물리 공간이 전자화되고 전자공간이 물질화된다는 말이다. 서울시정개발
연구원
장영희 박사도 “물리 공간 자체가 디지털화되는 것”이라고 짤막히 요약한다. 주위 사물과 공간이 모두 컴퓨터로 바뀌고 지능화된다는 뜻이다.결국 이 새로운 공간은 사람과 컴퓨터뿐만 아니라 사람과 ... ...
파스퇴르연구소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한국 분원이 2월 25일경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 내에서 문을 연다. 제품 개발이 아닌 순수 연구를 목적으로 세계적인 연구기관이 국내에 들어오는 것은 처음 있는 일로, 과학기술부의 ‘해외 우수 연구기관 유치사업’이 결실을 맺어 성사됐다.한국에 진출하는 파스퇴르연구소는 전염병의 원인이 ... ...
화성이 눈앞에 펼쳐지는 www.nasa.gov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우주과학에 대해 궁금증이 있다면 ‘FAQ’와 ‘질문상자’를 이용하면 된다. 천문
연구원
홈페이지 접속 속도가 느려 필요 이상으로 이용시간이 길어지는 점이 옥에 티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원자분수시계는 GPS에 장착된 시계보다 약 1백배 더 우수하다.한편 한국표준과학
연구원
에서는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저속 원자빔 시계, 세슘원자분수 시계를 개발하는 연구를 통해 상용 원자시계보다 10-1백배 더 정확한 시계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차세대 원자시계로 부상하고 ... ...
2 동백 고향을 떠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인류의 활동으로 인해 현재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산업혁명 이전(1000-1750년)보다 약 31%가 증가했다. 지구의 기온이 20세기 들어 계속 상승한 것은 바로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 농도가 높아진 결과로 보고 있다.나무는 자기가 잘 자랄 수 있는 기후환경에서 다른 나무들과의 경쟁에서 살 ... ...
이전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