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뉴스
"
성과
"(으)로 총 6,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탐색 중심에 있는 韓과 경쟁 대신 협력하겠다”
2016.06.20
약하게 상호작용하는 무거운 입자)’에 쏠려 있었다. 그러나 오랜 기간 의미 있는
성과
를 얻지 못하면서 물리학계는 ‘액시온(약하게 상호작용하는 아주 가벼운 입자)’에 고개를 돌리기 시작했다. 특히 액시온은 김진의 경희대 물리학과 석좌교수가 1979년 창안한 입자이기도 하다. 지우타스 ... ...
정민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사표 제출
2016.06.19
국책기관이다. 대학, 정부 연구기관, 기업 등에 연구개발(R&D) 예산을 배분하고 연구
성과
를 평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올해 연구재단이 관리하는 연구개발(R&D) 예산은 4조4599억 원에 이른다. 연구재단 이사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장관급 자리다. 일각에서는 특별한 사유 없이 이사장이 중간에 ... ...
뭉쳐야 산다! 과학계에 부는 ‘오픈’ 바람
2016.06.17
틀고 있다. 공유와 협력을 통해 더 다양하고 풍부한 데이터를 얻고 이를 통해 좋은 연구
성과
를 어느 정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공유, 협력은 ‘빅사이언스’ 유지에 필수 지난달 2일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전 세계 유방암 환자 560명의 전체 게놈(유전체) 분석 프로젝트는 공유를 ... ...
내년부터 軍 발칸포 사격훈련, 컴퓨터로 평가한다
2016.06.16
운영기획팀장은 “국방부와 국책연구기관이 전력지원체계를 위해 처음으로 협력해 이룬
성과
”라며 “KIST를 비롯한 국책연구기관은 비무기 체계 연구개발을 위해 국방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연구를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2016.06.16
라이고를 통해 1초 동안 중력파를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관측
성과
는 약 5개월간 검증 과정을 거쳐 이날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에서 처음 공개됐다. ‘시공간의 물결’로 불리는 중력파는 큰 별이 폭발하거나 블랙홀이 생성될 때 관측된다. 아인슈타인이 191 ... ...
드론 공격 막는 도심형 레이더 개발
2016.06.15
수 있었다”며 “더욱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연구
성과
는 레이더 분야 국제 학술지지인 ‘IEEE 항공우주 및 전자시스템 회보(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s Systems)’ 온라인판 5월 26일자에 게재됐다. ... ...
[WWDC16 ②] 마침내 제옷을 입은 웨어러블 기기, 애플워치와 워치OS
2016.06.15
된다. 앱이 열리는 속도는 이전에 비해서 7배 정도 빨라졌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앱 접근
성과
속도가 좋아졌다. 최호섭 제공 작은 화면을 어떻게 쓸 지에 대한 고민도 조금 더 발전을 이뤘다. 메시지를 받았을 때 용두를 돌려 아래쪽으로 내리면 간단하게 답할 수 있는 예시문들이 뜬다. 메시지의 ... ...
차세대 반도체 소재 ‘흑린(검은색 인)’이 뜬다
2016.06.14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각광 받는 흑린과 관련된 연구
성과
를 잇따라 발표했다. 흑린은 검은색 인(P)이 2차원 평면으로 결합된 물질이다. ‘꿈의 소재’로 불리던 그래핀이 활용 과정에서 주춤하는 사이 흑린의 인기가 높아진 형국이다. 최원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
차세대 ‘인공와우’ 원천기술 개발
2016.06.13
환자들이 청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상용화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
는 바이오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드스 헬스케어 머티리얼스(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온라인판 9일자에 게재됐다. ... ...
[과학을 보는 창, 저널] 아카이브(arXiv)
과학동아
l
2016.06.09
투고하면 출판되기까지 보통 1~2년이 걸린다. 경쟁이 치열한 분야에서는 비슷한 연구
성과
가 거의 동시에 나올 수 있다. 이때는 아카이브에 연구결과를 먼저 올린 사람이 업적을 크게 인정받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카이브에 올린 논문만으로도 업적을 인정받기도 한다. 기술의 발전 속도가 워낙 ... ...
이전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