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각각 ‘삼청동천’과 ‘백운동천’ 이라는 작은 개울물이 흐르고 있었다. 하지만 도시가
개발
되면서 개울물이 흐르던 자리가 건물로 메워졌기 때문에 물은 도로 가장자리를 따라 흐르게 됐다. 사람이 사라진 뒤 수십 년이 지나 도로가 갈라지면 이 틈이 다시 새로운 개울이 된다.야생동물의 ... ...
편안한 눈, 즐거운 귀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10대에겐 들리지만 어른에게는 안 들리는 1만7000Hz의 고주파음을 내는 장치를
개발
했다. 식당이나 쇼핑몰에서 시끌벅적한 10대를 쫓아 내는 데 쓰려는 것이다. 그는 공로를 인정받아 2006년 이그노벨상 평화상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10대들의 역습은 만만찮았다. 10대에게만 들리는 고주파의 휴대전화음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대비해 우주 전력을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단계적으로 갖출 예정이다. 2010년 ‘국가 우주
개발
도약의 해’와 발맞춰 군의 우주 전력이 더 비약적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해 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공군, 이제 우주로 ... ...
온실가스 배출 ‘절반의 합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지구의 기온 상승을 2℃ 이내로 유지하기로 했다. 또 선진국들은
개발
도상국들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코펜하겐 녹색기후기금’을 조성하기로 했다.이번 협상에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지구 평균온도의 상승폭을 2℃ 이내로 억제하자는 비전에 합의한 점은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할 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인조 잠자리 눈을
개발
하기도 했다. 지름이 1μm인 유리구슬을 물속에 분산시킨 뒤 크기가 40μm 정도인 기름방울을 넣자 물과 기름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유리구슬이 기름방울의 표면으로 이동했다.또 유리구슬이 빼곡하게 달라붙은 ... ...
청정 원자력 발전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핵재료전공으로 공학석사를 마치고 ‘납-비스무스 원자력 시스템 구조재료
개발
’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올 2월 벨기에 원자력연구원(SCK-CEN)의 MYRRHA 설계팀에 참여할 예정이다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비슷한 우주선을 발사시킬 것이다. NASA는 이와 함께 116m 크기의 거대한 아레즈 5호도
개발
하고 있는데, 이는 달 착륙선처럼 무거운 물체를 지구 궤도에 올려놓을 것이다. 우주비행사들은 지구 궤도에서 착륙선과 도킹돼 달로 발사될 것이다.새로운 로켓은 우주인을 흥미진진한 곳으로 데려다줄 수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종이 되었어.점점 사라지고 있는 맹꽁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무분별한
개발
을 막고, 자연환경을 잘 보존하는 것이 가장 먼저일 거야. 그리고 맹꽁이가 도시에서 발견되면 안전한 곳으로 옮겨 주는 것도 필요해. ‘맹-맹-꽁-꽁’. 이 울음소리가 끊기지 않도록 말이야. 얼마 전 ... ...
“뇌파로 강아지와 대화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그리고 일본에서는 뇌파를 감지하는 특수 헬멧을 쓰고 로봇을 직접 조종하는 기술도
개발
됐습니다. 장애인들이 생각만으로 로봇 도우미를 활용하게 된 것이죠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맞는 것으로 고를 수가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왼쪽 그림과 같은 프랑스에서
개발
한 신선스티커가 선보인 바 있다. 나노 기술로 진화하는 포장미래에는 지금보다 빛과 열을 잘 견디고 포장 내부의 환경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포장 재료가 등장할 것이다. 물론 가벼우면서 환경에도 해롭지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