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지역에 수소가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영구 그림자 지역이 아닌
곳
에서도 수소가 집중돼 있었다.1998년 발사돼 달 주변을 돌던 탐사선인‘루나 프로스펙터’의 중성자검출기는 해상도가 높지 않았기 때문에 이 같은 사실이 명확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LRO와 찬드라 얀에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때문이다.이렇게 해서 중간권에 수증기가 조금 더 유입됐다고 해보자. 하지만 이
곳
은 수증기가 매우 희박하다. 사하라 사막 공기의 고작 1억 분의 1 정도만큼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 희박한 수증기가 먼지 입자에 붙어 구름이 형성되려면 온도가 아주 낮아야 한다. 무려 영하 120℃ ... ...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사다리에서 내려오며 말했다. 그는 오스트리아에서 온 오르간 제작기술자들과 함께 이
곳
에서 오르간을 설치하고 있는 중이었다.오르간 안에 들어 있는 파이프의 개수는 악기마다 다르다. 세계에서 가장 큰 오르간인 미국 필라델피아 워너메이커의 오르간은 파이프가 약 3만 5000개나 들어 있어 각기 ... ...
키를 쑥쑥! 성장호르몬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시간과 관계가 있지. 뇌 바로 밑에는 여러 호르몬이 분비되는‘뇌하수체’가 있는데, 이
곳
에서 키를 자라게 하는 ‘ 성장호르몬’이 나와. 이 호르몬이 가장 많이 분비되는 시간은 자정부터 새벽 2시 사이야. 이 때 잠을 자지 않고 깨어 있으면 호르몬양이 많이 줄어든단다. 특히 게임을 하느라 뇌가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똑바로 넣는 것과 수학을 잘 하는 것이 무슨 상관이 있으랴 싶다. 그러나 신발을 정해진
곳
에 똑바로 넣을 수 있다는 건 신발과 올바른 장소를 짝지을 수 있다는 것으로, 수학의 기본 중의 기본인 '일대일대응'의 원리를 알고 있다는 뜻이다. 일대일대응을 알고 있으면 수를 정확히 셀 수 있고, 점점 ... ...
2. 모양 속에 안전 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왜 다들 원형일까?맨홀은 상수관이나 하수관이 꺾이는
곳
이나 굵기가 다른 관이 연결된
곳
에 설치하는 것으로, 필요할 때 사람이 들어가 수리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그래서 사람을 뜻하는 맨(man)에 구멍(hole)을 합쳐 맨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사람이 들어가기 쉽도록 가장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 ...
파란만장 독립투사 되기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아직 뭘 모르는구만.”허름한 차림의 사내가 소리를 치며 다가온다.“누가 함부로 이
곳
에 들어오래? 빨리 나가!”“봐라. 금마나는 무슨? 거지야 거지. 상거지.”“거지라니? 내가 금마나인데, 웬 놈들이냐?”“암호명 매헌이 보내서 왔어요. 여비를 얻을 수 있을 거라고….”금마나는 도형의 공손한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변화시켰음을 암시하는 결과다.기저핵은 대뇌반구의 안쪽과 밑면에 해당하는 부위로 이
곳
의 회로는 언어처리와 관련돼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 책임자인 독일 막스플랑크 진화인 류학연구소 볼프강 에나드 박사는 “이 연구는 인류의 진화에 관련된다고 보이는 단백질을 동물 모델에 치환한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모두 투과해 버린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X선이 약할수록 흡수가 잘 되는
곳
과 안 되는
곳
이 뚜렷하게 나뉘므로 적절한 강도의 X선을 쬐는 일이 중요하다.이 때문에 비슷한 밀도의 기판들이 부착된 노트북은 촬영하기 매우 까다롭다. 비교적 낮은 강도의 에너지를 쪼여야 금속들의 미미한 차이를 ... ...
가상세계에서 과학실험 맛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있다. 우드락으로 만든 몸체를 접어 끼운 뒤필름을 LED 전구로 비춰 관찰한다. 어두운
곳
에서 벽을 향해 비추면 별자리가 나타난다. 투영기로 공부한 다음, 밤하늘에서 실제 별자리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