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순리가 어디까지가 순리인가가 문제죠.성래_ 맞아요. 가타카까지는 아니더라도 많은
부분
이 유전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사회가 먼 훗날에는 될 것 같아요. 현재 순리라고 매겨지는 기준과 상관없이 그 범위가 조금씩 늘어나는 것이죠. 예전에 신에게 도전하는 행위로 여겨져 반대 의견이 거셌던 ... ...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요!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있는 그의 모습에서 우리는 아무런 인간적 고뇌를 찾아보기 어렵다.하이젠베르크의‘
부분
과 전체’에서 그려졌던 히로시마 원폭 투하에 대한 오토 한(Otto Hahn)의 처절한 절규, 그리고 원자폭탄 개발 이후 평생을 반핵 운동에 헌신했던 오펜하이머(Julius Robert Oppenheimer)의 반성과 비교해 보면 더욱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없는가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방을 예로 들면, 나방의 더듬이
부분
에는 두가지의 간단한 센서가 있는데 박쥐가 내는 초음파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런데 한가지 센서는 멀리 있는 박쥐의 초음파를 감지해 그 초음파가 날아오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날아가는 행위를 취하게 한다.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두고 방망이 모양으로 별을 이으면 목동자리가 완성된다. 방망이의 끝이 큰곰의 꼬리
부분
인 북두칠성이 있는 북쪽으로 뻗어있다는 걸 기억하면 찾기 쉽다.왕관자리봄하늘을 수놓는 가장 예쁜 별자리를 꼽으라면 단연 왕관자리다. 목동자리 왼쪽에 있어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오랜만에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보도는 우리 유전체의 기능을 파악하는 것은 우리 스스로가 해야 할일임을 느끼게 하는
부분
이다. 결국 생물 정보학의 핵심인 데이터마이닝의 장기적이며 체계적 연구야말로 선택이 아닌 국가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한 필수 요소라 해도 지나침이 없다. |신경망|뇌 신경생리학으로부터 영감을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할당된 염색체를 분석하는 대신 짜맞춰진 골격 중 염기서열 정보가 비어 있는
부분
을 메꾸는 작업을 하게 된다.컨소시엄의 한국 대표인 농업과학기술원 은무영 박사는 “앞으로 2백-3백만개의 염기쌍을 더 분석할 예정”이라며 “아쉬운 점도 많지만 어려운 여건에서 우리나라가 이렇게나마 기여할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만든다는 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는 많은 생물학자들을 놀라게 했는데, 그 이유는 대
부분
이 3의 배수가 필요하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이처럼 AFM은 최상의 해상도를 자랑하면서 과학자들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화학적인 특이성 면에서는 아쉬운 점이 있다. 그 분자가 어떤 것인지,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0월부터 새로 협력관계를 맺은 스텐포드대 게놈 센터에서 5번, 16번, 19번 염색체의 미흡한
부분
들을 현재 채우고 있다.베이어 칼리지 인간 게놈 센터 (www.hgsc.bcm.tmc.edu)1999년 3월부터 화이트헤드 생의학 연구소, 워싱턴대 게놈 센터와 협력 관계를 맺고 대규모 염기서열을 정리해 왔다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결정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이런 일이 가능하려면 새로 얻은 DNA 정보와 유사한
부분
을 엄청난 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찾고 이를 통해 해당 단백질의 유형을 찾아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작업이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분야가 바로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다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해륙풍과 계절풍에 대한 설명, 한국지리 및 세계지리에서 다루는 대륙성∙해양성 기후
부분
이 모두 물의 비열이 크다는 점과 관련된 현상을 다루고 있다생각해볼문제∙ 왜 얼음은 물의 가장 아래쪽이 아니라 위쪽에서 얼기 시작하는지 설명하라.∙ 대륙성∙해양성 기후의 차이는 무엇 때문에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