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식품포장재 랩 논쟁4년 PVC는 랩의 원료로 타당한가
과학동아
l
198904
등의 의견을 받아들여 이를 묵살한 것으로 나타났다.실제로 기술평가를 담당했던 김정엽
박사
의 이야기를 들어보자."기술적인 문제에 국한시켜 이야기한다면 PE를 원료로 투명하면서 박막필름을 만든 것은 새로운 기술임에 틀림없다. 기술수준 또한 단순한 것이 아니므로 보호할 가치가 있다.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04
파헤치고, 뇌염예방 주사약을 만드는 것 이었다.1959년 나는 연구를 마치고 미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뒤 1960년에 귀국하여 다시 서울의대에 돌아왔다. 내과의사가 아닌 미생물학 강사로 나의 연구생활과 교수생활이 시작된 것이다. 그후 나는 10년 간에 걸쳐 일본뇌염모기에 관한 연구와 ... ...
마인드 컨트롤인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04
말할 수 있다. 필라델피아 정신병치료 상담소장이며 정신분석학자인 '클랜시 맥켄지'
박사
는 수년간 요가 명상법 바이오피드백 그리고 초심리학을 연구했다. 그런데도 그는 "마인드 컨트롤은 매우 유익하며 안전하고 정신요법의 한 부분으로 대단히 효과적인 것"이라고 주장하고있다.그는 환자에게 ... ...
초음파로 백내장의 핵을 부순다
과학동아
l
198903
따라서 상처를 적게 낸 상태이므로 쉽게 아물고 부작용도 적은 것이다”라고 이상욱
박사
는 말한다.유화흡인술 수술과정. 우선 흰자와 검은자의 경계를 절개하여 그 사이로 초음파를 때려, 백내장의 핵을 부셔서 빻아낸다. 이어 동공의 각막을 4mm 가량 더 절개하고 여기에 인공수정체를 삽입시킨다. ... ...
의사
과학동아
l
198903
뛰어난 직관이 왜 나이들수록 희미해지는 것일까?)그보다 나이가 좀 더 들자 슈바이처
박사
를 존경하고, 노벨의학상을 받는 사람이 되겠다고 했다. 드디어 의과대학에 들어와서는 여름에는 농촌의료봉사, 학기중에는 판자촌의 주말진료소에서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되려고 열심히 노력했다.막상 ... ...
17살의 수학 천재 로렌스양
과학동아
l
198903
안된 로렌스양은 6년전에 옥스포드에 수석으로 합격했고 13살때 졸업 했으며 지금은
박사
학위를 준비하고 있다. 하버드대학과 버클리, 프린스턴등에서는 그녀에게 “우리대학으로와서 연구를 계속하고 틈틈히 학생을 지도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로렌스’양은 특히 양자론과 우주의 ... ...
오존감소·수질오염, 먹이사슬 약화
과학동아
l
198903
광합성 능력이 정상수준의 8분의 1까지 놀라울 정도로 떨어졌다. ‘캐롤 스티픈즈’
박사
의 조사에 따르면 자외선에 대한 감응은 특히 ‘나노 플랑크톤’(2~20미크론 크기의 단세포 식물)과 ‘피코 플랑크톤’이 민감한데 이 두가지는 남극해역 플랑크톤의 90%를 차지하며 크릴의 먹이가 된다. 아직 ... ...
고압의 물로 쇠를 동강낸다
과학동아
l
198903
점이 그 첫째이고 고압이니만큼 안전에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는 점이 두번째다.안영재
박사
는 물칼제작상의 어려움을 이렇게 설명했다.“4천기압의 고압발생장치를 만드는 작업은 매우 힘들었다. 또 사파이어를 재료로 사용하는 노즐장치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특히 관(管)모양을 만드는데 애를 ... ...
개척분야에서 뛰고픈 욕망
과학동아
l
198903
비행기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섰다. 우리나라 최초의 항공공학
박사
인 장극
박사
가 설계한 한국형 경비행기의 설계가 끝난 것이다. 그러나 실망할 필요는 없다. 비록 아기가 처음으로 한 걸음을 옮겨 놓은 상태이긴 하지만, 우리나라 항공사는 지금부터 시작인 것이다.우리 항공산업의 미래가 ... ...
기억의 메커니즘
과학동아
l
198902
타당한 분자모델을 발전시킬 수 있게 된 것은 분명히 하나의 전진이다. 그러나 린치
박사
에 의하면 그의 분자모델만으로는 우리가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해 아직 알 수 없는 점이 많다고 한다.그는 말했다. "인간의 지적사고에 도전하는 데는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협력하여 지혜를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