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6,996건 검색되었습니다.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07
위해 독일(뢴트겐의 조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쏘아올린 로샛이 있다. 로샛의 관측결과가
발표
될 즈음에는 X선 천문학은 한단계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국내 X선 연구현황은 어떠한가. 우선 다른분야와는 달리 인공위성이 필요하다는 점 때문에 우리 실정으로는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다. 그 결과 ... ...
1. 무시험 입학, 구김살 없는 과학영재 기른다
과학동아
l
199507
협력관계를 맺고 교수와 학생의 교환을 추진하고 있다. 수년전부터 학생들이 해외 학술
발표
에 참가하기도 하고 있어 학술발전을 한걸음 앞당기는 역할을 한다 ... ...
윈도우 동호회
과학동아
l
199507
활용으로 내 것을 만드는 것이 훨씬 생산적이지 않겠느냐"고 말한다. 특히나 아직
발표
되지도 않은 윈도우 95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걸고 있는 높은 기대를 본다면 '윈도우의 모든 것'을 표방한 윈도우 동호회가 계속 남아 있을 충분한 아유가 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한편 윈도우 동호회는 그동안 ... ...
인텔, 133MHz 펜티엄 프로세서
발표
과학동아
l
199507
월 중순 펜티엄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1백33MHz 펜티엄칩을
발표
했다. 93년 말 처음
발표
된 60 MHz 펜티엄칩보다 두배나 빠른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이 칩의 개발로 펜티엄 프로세서 제품군은 모두 9개로 늘어났다.인텔 코리아의 이계승 사장은 "가정용뿐만 아니라 사무용 PC시장에서도 고성능 ... ...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06
활성화돼 결과적으로 암을 퇴치할 수 있다는, 당시로선 획기적인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또 1909년 얼리히는 암세포의 성장을 방해하는 면역시스템이 존재한다고 가정했으나 다른 의학자들의 관심을 이끌어 내지는 못했다.1950년대 말에 와서야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이 암세포를 파괴할 수 있다는 것이 ... ...
PART5 암 억제·유발의 두얼굴 p53을 찾아라
과학동아
l
199506
열린 미국 암학회에서 한국의 위암 폐암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비정상 p53를 조사 결과를
발표
했다. 다음은 그의 연구 결과."연세의료원에서 치료받은 위암환자 3백4명 가운데 비정상 p53을 지닌 사람은 1백29명(42.4%)이었습니다. 또 폐암환자 75명 중 27명(36%)이, 간암환자 12명중 1명이 손상된 p53을 ... ...
태양계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06
1백80도 자전한 이후의 남반구를 보여준다.명왕성과 위성 샤론-2중 행성현재까지
발표
된 명왕성 사진 가운데 가장 선명한 것이다. 위성인 샤론도 함께 나와 있으며, 사진을 촬영할 당시 명왕성까지의 거리는 44억km. ESA(유럽우주기구)의 FOC(Faint Object Camera)를 이용해서 촬영했으며 이로부터 구한 명왕성 ... ...
1 우주팽창속도·거리 계산, 80억년 추정
과학동아
l
199506
M100이라 불리는 나선은하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와 이로부터 구한 허블상수의 값을
발표
하였다. 그들은 이 나선은하에서 20개의 세페이드 변광성(별의 밝기가 수일에서 1백일 사이의 주기를 가지고 규칙적으로 변하는 매우 밝은 변광성)을 발견하고 이 변광성의 밝기와 변광 주기를 측정했다. 이 ... ...
MRI 고자기 초전도형만이 최선 아니다
과학동아
l
199506
고자기장 MRI보다도 더욱 높은 10테슬러급 초고자기장 MRI를 99년까지 개발할 예정이라고
발표
한 바 있다. 이러한 계획이 미국 내에서 일고 있는 경제적인 저자기장 MRI로의 회귀 현상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신중하게 생각해볼 시점이다 ... ...
음성인식 시스템 국내 첫 선
과학동아
l
199506
미국의 벨연구소가 항공권 예약 시스템을 연구실 범위에서 상당한 수준까지 개발됐다고
발표
한 것이 지난 76년인데,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이를 성공적으로 상용화하고 있는 예는 없다. 이번에 국내에서 선보인 것도 역시 연구실 수준의 시스템으로, 상용화에는 좀더 연구가 진척돼야만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