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뉴스
"
대
"(으)로 총 10,169건 검색되었습니다.
쥬라기월드가 돌아왔다...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세 가지
과학동아
l
2018.06.10
어색하게 걸어 다녔다는 얘기다. (doi:10.1038/3609) *표기법 쥬라기·벨로시랩터 중생
대
에서 두 번째 시기로 약 2억100만 년 전~약 1억4500만 년 전에 해당한다. 표기법은 ‘쥐라기’로 쓰는 게 맞지만, 기사에서는 영화의 제목을 살리기 위해 ‘쥬라기’로 표기했다. 마찬가지로 벨로시랩터는 ... ...
주방 감염의 원인은 ‘행주’
동아사이언스
l
2018.06.10
비해
대
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 모두 적게 발견됐다. 고기나 생선을 손질하는 과정에서
대
장균이나 황색포도상 구균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행주를 젖은 채로 놓아두거나 여러 번 사용하는 행위는 세균이 쉽게 번식하도록 만든다”며 “어린이와 노인이 있는 가족은 주방 ... ...
[테마영화] 긴장감 넘치는 핏빛 복수극 BEST 3
2018.06.09
역을 연기한 서영희의 열연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 작품이다. 이 영화처럼 쾌감이 극
대
화되는 복수극은 아니지만 역시 섬마을을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 ‘도희야’와 같은 듯 다른 분위기를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영화 ※ 필자 소개 이상헌. 영화를 혼자 ... ...
유럽 수질연구 구심점… 독일 연방지질조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지질연 책임연구원은 “여러 나라를
대
상으로 수자원 연구를 하는 경우는 적지 않지만
대
부분 과거 식민지 국가나 우방국을 중심으로 자국 이익을 위해 연구를 진행한다”며 “BGR은 중동, 중앙아시아 등 오지 국가까지 가서 연구에 나서는 등 세계에 걸친 수자원 정보 확보에 발벗고 나선다는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뇌 크기와 관련한 핵심 유전자”라고 강조했다. 향후 이 유전자군이 생겼을 때 고
대
인류가 겪은 사회와 자연 환경 등을 연계해 추적하면 뇌 크기가 커진 이유를 밝힐 수 있으리라 전망하는 이유다 ... ...
세상의 모든 사이비과학에 경고를.... '유사과학 탐구영역' 작가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8.06.07
유사과학 탐구영역을 통해 진짜 과학을 만나고 있다. 웹툰의 주 소비층인 젊은 세
대
는 물론 세제, 락스 등 생활소재를 주제로 삼는 경우가 많은 만큼 다른 작품에 비해 주부 독자들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유사과학 탐구영역은 6월 7일부터 시즌 2 연재를 시작한다. 시즌 2에는 잡상인의 라이벌이 될 ... ...
북한 교과서에서 ‘미제승냥이’ 빠진다
수학동아
l
2018.06.06
하지만,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북한 수학 교육에
대
해 꾸준히 연구해온 이정행 미국 나약
대
학교 수학과 교수는 “북한 수학 교과서에 나온 반미 내용을 어떻게 수정할 것인지가 북한이 현재 떠안은 숙제”라고 말했다. *출처 : 수학동아 2018년 6월호 '수학으로 남북통일은 가능할까? ... ...
잠이 모자라면 경제도 망가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06
등을 거론했습니다. 호주는 2018년 GDP가 1조 5002억 달러 (약 1606조 원)에 달하는 경제
대
국입니다. 세계 9위의 경제 규모를 갖고 있습니다. 사회 복지가 훌륭한 나라로 알려져 있지만 이 곳도 수면 부족에서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하루 7시간을 적정 수면이라고 볼 때 호주 성인은 33~45%가 수면시간이 ... ...
[출동!기자단] 백두산호랑이를 만나다! 국립백두
대
간 수목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05
문명을 유지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답니다. 국립백두
대
간수목원의 주요 시설 - 국립백두
대
간수목원 제공 *출처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1호(6.1발행) ...
아리안 6 발사체 조립 현장 가 보니..., 비용은 줄이고 성능은 높이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04
있다"며 "이 발사체가 개발되면, 위성 발사 비용을 현재의 절반까지 줄일 수 있으리라 기
대
한다"고 밝혔다. ※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으로 취재, 작성되었습니다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