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기계의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200여 가지의 다양한 전시물들이 가득했지요.전시관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은 건 1층에 있는 ‘어메이징스윙’이에요. 어메이징 스윙은 알록달록한 밸브에서 떨어지는 물줄기를 피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그네예요. 그네가 앞뒤로 움직이는 주기를 계산해서 그네가 ... ...
[지식] 테렌스 타오, 83년 묵은 수학 퍼즐 풀다!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거쳐 논문으로 출판될 것으로 보인다. 수학자 출신인 세계적인 갑부 제임스 사이먼스가
가장
부러운 사람으로 타오 교수를 꼽을 만큼 현재 그는 세계 최고의 수학자다. 현대 수학에서는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한 수학자가 없는데, 그는 폭넓게 수학 연구를 하고 있다. 타오 교수의 다음 연구 결과가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나타낼 수도 있어요. 이제 삼각측량을 어떻게 하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삼각측량의
가장
큰 장점은 일일이 재지 않아도 거리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이에요. 폭이 큰 강이나 높은 산이 가로막고 있을 때 직접 재지 않아도 삼각측량을 활용하면 거리를 구할 수 있어요.어때요? 지도 한 장에는 그 지역의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적게 배출하고, 결국 다 잘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디젤차 분야에서 개발이
가장
시급한 기술을 묻자 민 교수는 이렇게 답했다. 민 교수는 디젤차가 도로 위에서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 규제 기준만 만족시킨다면 연비나 이산화탄소 배출량 측면에서 분명히 장점을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볼 수 있는
가장
느린 빛의 속도는 초속 10만km 정도인 셈이다. 느려졌지만, 인류가 쏜
가장
빠른 우주선인 뉴호라이즌 호보다 여전히 500배 이상 빠른 속도다.빛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는 ‘양자(광)메모리’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이렇게 빠른 속도는 큰 골칫거리다. 전통적인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교수는 중국 전통의학에서 아르테미시닌을 찾았다. 아르테미시닌이 개발되기 전에
가장
널리 쓰이던 말라리아 치료제는 ‘키니네’다. 키니네는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나무인 키나의 껍질에서 추출한 말라리아 치료제다. 17세기 때부터 쓰이던 유서 깊은 치료제지만 1960년대부터 키니네가 듣지 않는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파악해 수치화시킨 다음 감독에게 전달한다. 감독은 이를 바탕으로 선수를 교체하고
가장
효율적인 전략을 지시할 수 있다. 유럽의 주요 축구리그에서는 대부분 프로존이나 아미스코 같은 트래킹 소프트웨어를 쓰고 있다.‘선수 추적 능력’은 언뜻 쉬워 보이지만 그리 만만히 볼 게 아니다. 경기를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진동이 전달되기 전에 경보를 울려야 하지요.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일본은 진원지에서
가장
가까운 지진계에 지진이 포착된 순간부터 5초 안에 방송을 통해 사람들에게 대피 경보를 울릴 수 있을 정도로 지진 경보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요. 10초면 건물 밖으로 뛰어나갈 수 있으니, 단 몇 초 단위로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옅었다화석으로는 생물의 특징 외에도 당시 지구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과학자들이
가장
관심 있게 연구하는 분야가 기후다. 미국 애리조나대 지구과학과의 잭 울프 박사는 현재 지구상에서 기후가 따뜻한 지역은 잎이 넓은 활엽수가, 추운 지역은 잎이 바늘처럼 뾰족한 침엽수가 많이 자란다는 ... ...
[생활] 뇌섹남들은 수학 문제를 푼다?! 뇌섹시대 문제적남자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문제를 푸는 건 골치 아프고 따분하다는 생각은 잠시 접어도 좋다. 문제를 풀어도 지루하지 않고 재밌다. 심지어 나도 모르게 문제를 풀게된다. ... 경우가 많은데, 살아가며 겪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때 필요한 ‘논리’는 수학을 통해
가장
잘 익힐 수 있다”며 수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