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다가오는 방학, 어떤 교재 살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다르게 나온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공부를 하면서 이
정도
까지 찾을 수 있으려면 내용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자신이 공부하던 책에서 오류를 얼마나 찾아내는지 보는 것도 공부하면서 찾을 수 있는 소소한 재미입니다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분류학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동물들을 중심으로 소화기관의 발달
정도
를 알아보자. 장이 없는 동물은 동물 중 가장 하등한 산호, 해면 등이다. 이들은 움직임이 없는 동물로 자칫 식물로 착각하기 쉽다. 그만큼 몸의 구조가 단순하며 기관의 분화가 거의 이뤄져 있지 않다.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밀도가 높은 곳을 만나면 다시 튕겨 위로 올라간다. 이 힘으로 대기층(채층)에서도 어느
정도
상승운동을 하다가 중력에 끌려 점점 속도가 줄어들다 다시 떨어진다. 아직 자세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새끼흑점은 흑점폭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끼흑점이 태양 표면의 자기시스템을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데 익숙해진다.연구팀은 그런 상황에서 W가 나왔을 때 참가자들이 실수로 버튼을 누르는
정도
를 조사했다. 그 결과 자유주의자가 보수주의자보다 실수를 적게 했다. 이 과정에서 뇌 활동을 측정한 결과 낯선 상황에서 갈등을 처리해 행동을 결정하는 영역인 ‘전측대상피질’도 자유주의자가 더 ... ...
굴뚝새 모녀의 비밀 암호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그 결과 새끼는 자신을 가르쳐준 어미와 가장 비슷한 소리를 냈고 낳아 준 어미는 중간
정도
비슷한 소리를 냈다.반대로, 가르쳐준 것과 가장 다른 소리를 내는 것은 굴뚝새에 기생하는 뻐꾸기였다. 연구팀은 굴뚝새가 자신의 새끼와 둥지를 위협하는 뻐꾸기를 막기 위해 이 같은 ‘암호’ 전략을 ... ...
장애물 스스로 피하는 비행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않게 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았다. 사람이 조종하는 콘트롤러는 장애물을 피할 수 있을
정도
로 부드럽게 반응하기 어렵고 전파신호는 로봇이 가는 모든 곳을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삭세나 교수 연구팀은 비디오 카메라와 3D 카메라를 응용해 스스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비행로봇을 고안했다.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시간 정확도가 높다. 더구나 연구팀이 선정한 10곳은 100년에 한 번씩 화산활동이 일어날
정도
로 지질활동이 활발해 고품질의 자료가 잔뜩 쌓여있다.분석 결과 발레 교수팀은 자기장 역전이 ‘예고-역전-반동’이라는 3단계에 걸쳐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예고 단계’란 나침반이 가리키는 ...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탈출하려는 현아에게 술은 매우 중요한 도구다. 간에서 분해할 수 있는 양을 넘어설
정도
로 에탄올이 체내에 흡수되면 혈액을 통해 뇌에 침투한다. 신경 전달물질이 정확하게 전달되는 것을 막아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만들거나 운동을 조절하는 소뇌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판단 능력이 흐려지기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신약개발에 앞장선다엄 교수는 “X선 결정학과 핵자기공명분광학법은 구조생물학에 8:2
정도
의 비율로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조생물학이란 세포내 소기관이나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해 그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X선 결정학은 고체 결정으로 만든 단백질만 관찰할 수 있는데, 결정이 되면 ... ...
펭귄들이 추위를 견디는 방법은 이기심이 아닌 수학!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계산하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이때는 펭귄들의 행동 방식과 각자 추위를 견디는
정도
의 차이, 그리고 시시각각 변하는 바람의 세기와 열 흐름이 모두 각양각색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했다.이런 요소를 모두 고려해 열 분포를 계산한 결과, 놀랍게도 모든 펭귄이 거의 같은 열을 나눠 갖는 것으로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