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스페셜
"
현재
"(으)로 총 5,70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 이상민 의원은 1981년 충남대 법과대학 법학과 (학사) 1992년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1995년 ~
현재
변호사 개업 1998년 서대전세무소 괴세적부심사위원회 위원 2001년 대전시 고문변호사 2001년 대전 MBC 고문변호사 원장 2003년 대통령인사보좌 자문위원회 위원 2004년~
현재
한국기자협회 고문변호사 2004~200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지적부터 쏟아냈다. 줄기세포 연구 왜하나? 선택 아닌 필수… 최우선 과제는 ‘인력’ “
현재
인류가 정복해야 할 난치병 대부분은 줄기세포 연구와 관계가 있습니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 난자 사용 등 윤리적 문제를 들어 제한하던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적극 지원하기로 한 것이 그 증거라고 할 수 ... ...
“신약개발에 1조원 든다는 얘기는 과장”
동아사이언스
l
2009.09.12
좋겠다. ▽최경업 평가위원= 복제약이나 개량신약 등으로 트렌드가 바뀌고 있는 것 같다.
현재
심평원의 약가는 단순히 공식에 대입해 책정됐었는데 이런 것도 연구개발을 주춤하게 만드는 한 요인이었던 것 같다. 개발자 쪽에서 요청하면 연구비 등을 고려해 약가 정책에 반영하는 방안을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UST 최고 인기학과는 ‘생명공학’… “산업흐름 잘 알아야 바이오 전문가” 2009년 8월
현재
UST의 총 학생 수는 503명. 이 중 국내 출연연 중 맏형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학생이 근무하는 곳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다. KIST가 종합연구기관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기능을 회복시켜 암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또 한번 네이처에 게재했다.
현재
정 교수는 AMPK 유전자의 기능을 활성화해 암을 치료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도 염두에 두고 있다. 세포성장과 관련한 신호전달 체계를 바로 이해해 질병의 원인을 밝힌다면 어떠한 난치성 ... ...
0원하던 기술이전료 100억 만든 사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09.07.28
지원하면 얼마나 큰 이익이 나올 지 가늠해 보기 어렵다는 것이 현 센터장의 주장이다. “
현재
제가 맡고 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이런 역할을 하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인력도, 지원체제도 부족해요. 국가 전체를 모두 지원하려면 조금만 규모를 더 키울 필요가 있습니다.” 필요한 것은 ... ...
“의사도 연구 안하면 경쟁력 잃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09.07.21
000년 연세대 부교수 1999년 아주대 의대 박사 1999년~2000년 미국 스탠포드대 방문교수 2000년~
현재
연세대 교수 2007년~
현재
연세대 영상의학과 주임교수겸 과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 ...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외에 기술, 경영 등에 대한 자문도 제공하며, 투자에서 나온 수익금은 전액 재투자된다.
현재
전세계 70여 개 벤처기업에 6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대부분 미국과 유럽 기업들이 대상이었다. 한국노바티스는 국내 첫 투자 대상으로 네오믹스, 파멥신 등의 신생 벤처기업를 선정하고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특히 생명과학계가 성공하려면 산업화 역량부터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신 연구원은
현재
미국 서부지역 바이오·제약기업 한인 과학자 모임인 ‘베이커스’ 회장을 맡고 있다. 신 박사는 이민 1세대다.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일리노이주립대에서 박사후과정을 마치고 제약업계에 몸 ... ...
타미플루 개발자 “한국 신약사업, 아이디어로 승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6.03
마이어를 거쳐 1994년 길리어드로 자리를 옮긴 후 지금까지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는 C형간염백신과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 운영되고 있습니다. ※ 이 기획기사의 내용은 미래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