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사해 소금으로 다시 태어난 환상의 드레스
과학동아
l
201610
소금 크리스탈로 장식된 환상적인 드레스로 부활시켰다. 드레스가 변하는 과정을 찍은
사진
은 9월 3일까지 영국 런던에 있는 말바라현대미술관에서 전시됐다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10
건설비를 지원한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슈퍼카미오칸데(위
사진
)를 이용해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이처럼 콘트랙트 형태의 지원을 받아서 탄생한 노벨상 수상 업적들은 대규모의 실험장비를 필요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중성미자를 발견(2002)하고, 중성미자에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10
백종원 씨는 “현지에서만 볼 수 있는 해양 생물의
사진
을 많이 찍었다”며 “이
사진
들을 모아 해양 생물 도감을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조혜린 학생은 “오기 전까지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았는데, 연구원들과 나눴던 대화나 실습들이 진로 결정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강동진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10
하나. 아래
사진
속 동물 가운데 진짜 동물이 아닌 ‘로봇’이 있다. 무엇일까. 이제 첨단기술은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을 위해서도 활약하고 있다. 그 기발한 모습을 소개한다.그는 원래 박제사다. 죽은 동물의 배를 갈라 속을 빼내고 방부처리 해 세워 놓는 게 일이었다. 박제가 된 동물은 움직이지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10
5년 전 어느 봄날이었다. 김민수 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는 편안한 마음으로 학교에서 매주 개최하는 융합세미나에 참석했다. 다른 전공 교수가 자신의 연구를 소개하는 세미나여서 부담 없는 시간이었다(게다가 점심까지 해결할 수 있었다!). 이날 주제는 ‘후각수용체와 그 활용’. 구재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1610
‘공대의 수학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컴퓨터공학부는 수학과 관련이 깊다.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귀에 딱지가 생길 만큼 자주 듣는 알고리즘을 수학으로 설계하기 때문이다. 허충길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고등학생 시절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나갈 정도로 수학에 관심이 많았다.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뭘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10
더 잘 버티도록 보완할 수 있습니다. 건축에서는 이를 ‘내진 보강’이라고합니다.아래
사진
처럼 바깥에 강한 철골 자재를 덧댄 건물을 본 적이 있나요? 튼튼한 철골을 바닥과 약 30°~50°의 각도를 이루게 세우고, 이 철골로 만든 삼각형이 건물 전체를 둘러싸게 만든 거예요. 그러면 삼각형의 세 변이 ... ...
[재미] 제34화 가을은 운동회지~!
수학동아
l
201610
어느덧 낙엽이 지는 가을이 왔다. KAIST 수학문제연구회는 가을을 맞아 운동회를 준비했다. 현경이는 운동회의 마지막 순서인 릴레이 달리기 경기 코스를 준비해 친구들에게 소개했다.현경이가 준비한 달리기 코스는 다음 그림과 같다. 어떻게 경로를 짜야 릴레이 달리기 경기를 할 수 있을까? (단,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10
물론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어서 홍채를 해상도 높은 카메라로 찍어 프린트한
사진
으로 일부 홍채인식기를 속일 수 있다.또 돈을 들여 의안을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위조를 방지하는 기술 역시 발전했다. 김재희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홍채인식을 할 때 양쪽 눈에 각각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