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10
e메일 인터뷰에서 일본과 미국 정부가 거대 실험장치의 건설비를 지원한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슈퍼카미오칸데(위 사진)를 이용해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이처럼 콘트랙트 형태의 지원을 받아서 탄생한 노벨상 수상 업적들은 대규모의 실험장비를 필요로 하는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10
해부해 보는 실습 시간도 있었다. 축의 바다에는 우리나라에서 보던 것보다 3~5배 가량
큰
해삼들이 지천에 널려 있다. 해삼 잡이는 축 현지인들의 몇 안 되는 수입원 중 하나다. 현지인의 도움을 받아 단원들이 직접 잡은 해삼과 물고기는 이날 도마가 아닌 수술대에 올랐다.“물고기 배를 가르고 뇌,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10
유리창에 부딪히거나 엔진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일이 잦다. 새는 물론 인간에게도
큰
위협이다. 이착륙하는 항공기의 속력이 시속 307km이고 0.9kg 가량의 청둥오리 한 마리와 충돌한다고 가정하면, 순간 충격은 4.8t짜리 물체가 중력가속도로 떨어질 때 받는 힘과 같다.한국의 방산 업체 LIG넥스원은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10
고안한 캐리 멀리스 박사는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하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는 데
큰
문제가 있었다. 프라이머는 목표 유전자의 원하는 부위에 달라붙어서 DNA중합효소가 유전자를 복제하게 만들어 준다. 그런데 유전자 맞춤형 프라이머를 제작하는 게 너무 어려웠다. 3만~ 4만 개인 사람의 ... ...
[Career] 일상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1610
‘공대의 수학과’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컴퓨터공학부는 수학과 관련이 깊다. 대학에 입학하면서부터 귀에 딱지가 생길 만큼 자주 듣는 알고리즘을 수 ... 효율성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죠. 학교는 연구의 자율성이
큰
편입니다. 독특한 연구도 할 수 있고요 ... ...
Part 2. 더 빠른 열차, 어떻게 만드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
공기저항을 이길 수 있는 ‘디자인’이랍니다.수백 톤의 열차가 빨리 달리기 위해서는
큰
추진력을 내는 엔진이 필요해요. 또 빨리 달리는 만큼 빨리 멈출 수 있는 제동력도 꼭 갖춰야 하지요. 그래서 최근에는 하나의 엔진으로 뒤의 열차를 끌고가는 ‘동력집중식’이 아니라, 각 열차에 엔진이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
폭발하는가 하면, 땅이 부딪히며 지진도 자주 발생하지요.불의 고리는 지구에서 가장
큰
태평양판과 그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다른 판과 부딪히고 있는 지역이에요. 아시아의 동쪽과 아메리카의 서쪽을 따라 둥그런 모양을 이루고 있지요.이 지역에 특히 지진과 화산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10
있어야 한다. 대개 토카막에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가둔다. 하지만 외부와 압력 차이가
큰
탓에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특히 핵융합 플라즈마 경계면에 파도 모양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이 문제였다. 이 현상으로 플라즈마 가장자리가 터져 토카막 내부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세계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
과학동아
l
201610
권적운 등 평상시에도 나타나는 구름이다. 지난 9월 12일 경주에서 지진관측 사상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하지만 국민의 상당수가 긴급재난문자를 받지 못했다. 현재로써 그나마 가장 믿을 만한 것은 미소 지진이다. 거대한 단층면이 한꺼번에 쪼개지기 전에, 단층면의 일부분이 응력을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
과학동아
l
201610
교수가 C 교수에 비해 사회적 자본은 적지만 앙글레르 교수의 핵심 공저자들이 연구에 더
큰
기여를 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앙글레르 교수는 힉스 입자를 예측한 논문을 공동저술한 로버트 브라우트 교수와 평생 가장 많은 연구를 했다(124편 중 32편, 26%).분석 대상이 한정적이라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