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려대학교
고대
고려대학
d라이브러리
"
고려대
"(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알고있던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멋진 신세계'의 결성은 현재 이 모임의 회원인 박상준씨(
고려대
경영학과 4학년)가 '추·공' 7월 모임에 참석해 "SF동호인만의 독자모임을 가져야하지 않겠느냐"고 부추긴 것이 계기가 됐다. 처음에는 모임의 이름을 SF 매니아(mania)로 붙였다가 최근 회원들의 투표결과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만들어 전파시키기 때문이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이와 관련
고려대
박명순교수(전산학과)는 흥미있는 실험결과를 공개했다. 전산학과 2학년생을 대상으로 하는 '어셈블리'(Assembly, 기계어)강좌서 학생들에게 바이러스에 걸린 프로그램을 주고 그 바이러스를 분석해 ... ...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한때는 포식 피식관계였다가 구원(舊怨)을 청산하고 공생관계로 돌아선 생물들이 자연계에는 허다하다.공생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곧 개미와 진딧물의 관계를 연상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진딧물은 열심히 수액(樹液)을 빨지만 거기서 얻은 당분은 진딧물에게 그리 필요한 것이 아니다. 이 ...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어떻게 하면 상자 안에 사과를 가장 많이 넣을 수 있을까?하늘이 높아지고 산과 들이 색색으로 물드는 가을은 누구에게나 푸짐하다. 책보기 좋은 서늘한 계절인데다가 누가 봐도 먹음직스런 과일이 많기에 마음이 더욱 흡족해진다. 특히 추석을 맞아 친척이나 친지들을 찾는 사람들에게 과일은 선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다른 질병까지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반대의 목소리 또한 만만찮다.
고려대
의대 박영대교수(내과)의 얘기를 들어보자."장세척은 그동안 대장의 내시경검사나 X선검사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이용해 왔습니다. 따라서 이를 변비를 비롯한 소화기병 치료에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요.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가설했는데, 거기 그린 세계지도의 바탕 그림이 1602년의 마테오 리치세계지도였다. 지금
고려대
박물관에 보존돼 있는 송이영의 혼천시계에 들어있는 직경 8.9㎝의 지구의가 그 실증적인 유물이다. 이 지구의들은 비록 크기는 작고 혼천의에 연결된 것이긴 하지만, 동아시아에서 가장 정확한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이때 깃발을 든 사람은 강현삼(서울대 미생물학과) 노현모(서울대 동물학과), 이세영(
고려대
농대) 한문희(KIST 유전공학센터)박사였다. 정치적으로는 이상희 전(前)의원의 기여가 컸다.1981년 유전공학은 반도체공학과 더불어 정책적으로 지원할만한 분야로 추천됐다. 당시에도 알코올 조미료 ... ...
정밀검사로 능력 평가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있으나 아직 대다수의 공과대에서 과별로 규제조항을 남겨두고 있다. 의대의 경우에도
고려대
부산대 이화여대 등에서는 색약자에 한해 입학을 허용하나 나머지 다수 학교가 색약을 포함해 색각이상자의 입학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이에 대해 문교부의 한 관계자는 "행정당국의 입장에선 모든 ... ...
입자물리학계의 석학 강경식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기둥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표준연구소장 이충희 박사, 서울대 김진의 교수,
고려대
박만장 교수, 한국과학기술원의 고인규 교수, 연세대 장수경 교수 등은 모두 강박사의 명성을 듣고 브라운대로 유학가서 공부한 그의 제자들이다.25년 동안 한국계 물리학과 학생 40여명을 지도한 강박사는 ... ...
사용자를 위해 봉사하는 인간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설립돼 학술적인 교류가 시작됐다. 현재에는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 포항공대
고려대
등이 수준있는 인간공학연구실을 갖추고 있으며 이 분야를 전공한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또 사회적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1987년에는 한국표준연구소에 인간공학연구실이 처음으로 설치됐으며 1989년에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