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근육"(으)로 총 1,9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실제 감각 기관에서 오는 신호를 차단하고 가짜 신호를 뉴런에 전달한다. 거꾸로 뇌에서 근육과 사지를 움직이려 할 때도, 나노봇들이 신호를 중간에 가로채서 실제 몸 대신 가상현실의 육체가 움직이게 한다.이런 소설 같은 일이 실제로 가능할까.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예를 들어 헐크는 힘쓰는 일이 많은 캐릭터다. 그러다 보니 얼굴을 그릴 때도 작은 근육까지 세세하게 묘사하려고 노력한다. 개미처럼 작은 앤트맨을 그릴 때는 크기 대비를 강조한다. 가령 지네와 싸울 때는 지네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그려 앤트맨을 더 왜소해 보이게 만든다.Q 가장 그리기 어려운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세운 회사 ‘탈믹랩’에서 만든 장비 마이오 (MYO)다. 마이오를 팔에 차면 센서 8개가 팔 근육에 서 흐르는 전기신호를 인식해 카메라보다 훨씬 정확 하게 손과 팔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작년 6월 소비자 버전이 나왔다. 인식범위가 15m로 키넥트보다 훨씬 넓어 사용하기 편리하다.INSIDE | 시각을 넘어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용하는 것. 예를 들어, 홍채는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이 때 쓰이는 근육인 조임근은 사람마다 다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같을 확률은 10억 분의 1 밖에 되지 않는다.생체 정보를 이용하면 암호를 따로 외울 필요도 없고 유출될 염려도 없어, 이를 암호로 사용하려는 시도는 ...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과거에 닭을 토대로 복원했기 때문에 이 근육을 고려하지 않았죠.퍼슨 박사는 이 근육 덕분에 파충류가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면서, 티라노사우루스도 시속 30km 정도로 빠르게 걸었을 거라고 설명했어요.1993년에 개봉했던 영화 ‘주라기공원’에서는 2m 정도의 크게 악어처럼 생긴 육식공룡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쳐다봤다. 7년 전, 의사들과의 점심식사가 떠올랐다. 그중 ‘심장차단은 전기 신호가 심장근육에 닿지 못할 때 생긴다’는 말이 기억났다.‘그래! 이 장치라면, 심장차단을 막을 수 있겠어!’ 전기로 심장을 뛰게 하다마침내 그레이트배치는 심장박동을 돕는 소형 회로를 개발했다. 그레이트배치는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같은 힘으로 지구에서보다 훨씬 높이 뛸 수 있다. 마냥 좋아할 일은 아니다. 약한 중력은 근육과 뼈를 약하게 한다. 지구에서 보다 운동을 훨씬 더 많이 해야 한다.95% vs 0.13%화성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비율이다. 지구에선 각각 0.038%, 21%다. 산소는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이산화탄소가 ... ...
- [Hot Issue] ‘멍~ 때리는 동물?’ 파충류는 억울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튀어나올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래서 파충류는 다른 척추동물들보다 더 크고 강력한 턱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다.파충류는 발달된 색채 시력과 물을 아끼는 콩팥도 지녔다. 색수용체가 네 개 또는 다섯 개로 사람(세 개 지니고 있다)보다 많다. 아마 파충류는 우리가 보지 못하는 화려한 세상을 보며, ... ...
- [수학뉴스] 사람은 얼굴 속도 비대칭?수학동아 l2015년 04호
- 선)으로 이뤄진 사람 얼굴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사람 얼굴을 구성하는 각각의 뼈와 근육은 그 연결 상태에 따라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같은 유형에 속한 근골격은 진화 기원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요.연구팀을 이끈 구트만 교수는 논문에서 “이 연구는 개체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엄지가 길고 손가락이 짧았다. 물건을 잡기 좋은 호모 속의 특징이다. 하지만 강력한 근육이 붙었던 흔적은 이 종이 걷기 외에 나무 타기에도 능했다는 뜻으로, 원시적인 특징이었다. 두뇌의 경우도 구조는 호모 속에 가까웠지만, 크기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비슷하게 작았다. 버거 교수는 이런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