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받았다. 1993년에는 네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로버츠와 샤프는
박테리아
와 달리 진핵세포를 가진 동·식물에는 하나의 유전자 안에 여러개의 의미없는 조각들이 끼워져 있음을 밝혀냈다.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캐리 멀리스와 마이클 스미스는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 ...
펭귄 수컷의 뱃속은 아기 음식창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먹은 물고기를 다시 펭귄이 먹으면 플랑크톤에서 항
박테리아
물질인 아크릴산이 분비돼
박테리아
가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을 만든다. 따라서 펭귄은 위 안에 저장된 음식물을 신선하게 보존할 수 있다. 암컷이 돌아오면 수컷은 다시 정상적으로 음식물을 소화했다. 이 점에서 펭귄은 천연 항생제의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단백질로만 이뤄져 있는데, 리케차와 마찬가지로 비세포성 생물에 포함된다바이러스와
박테리아
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는 미생물 세포벽은 없지만 3층으로된 세포막에 쌓여있는 것이 특징 폐렴과 관절염 가운데는 미코플라즈마 때문인 경우가 있다가솔린 등을 사용해 적을 태워버리는 약제를 ... ...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연속됨을 보여준다핵이나 세포기관이 없고 비교적 단순한 원형질 막구조를 가진 생물
박테리아
나 청록조류 등이 이에 속한다 단순 이분법으로 다음 세대가 형성되므로 세대간 또는 개체간 변이나 생물군 내 다양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적다핵을 비롯한 여러 세포기관들을 구비한 생물 세대간 양친 ... ...
기름으로 얼룩지는 바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기름을 회수하고 제거하는 방제작업을 할 때 큰 장애가 된다. 물론 기름분해능력을 가진
박테리아
나 균류들에 의해 일부의 기름이 분해된다. 그러나 독성을 지닌 방향족탄화수소(벤젠고리를 함유하는 탄화수소)들은 분해속도가 매우 느리거나 거의 분해되지 않고 해수나 퇴적물 속에 잔류하게 된다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하천의 경우 5ppm이상이 되면 자정(自淨)능력을 잃고 10ppm을 넘으면 악취를 풍긴다 한편
박테리아
가 아니라 산화제 등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나타낸 지표가 화학적 산소요구량, 즉 COD이다높은 산이나 극지방에서 나무가 자랄 수 있는 한계 다시 말해 환경 조건의 변화때문에 수목이 생육할 수 없는 ... ...
병주고 약주는 두 얼굴의 초콜릿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나머지는 당분 등이어서 치아에 해롭다는 사실이다. 플라크의 축적을 막는 성분보다
박테리아
의 먹이감이 되는 당분이 훨씬 많기 때문에 초콜릿을 먹고 이 닦기를 게을리 한다면 입 속은 충치 세상이 될 것이다.하지만 오오시마 박사의 연구 결과는 카카오 콩의 또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앞으로는 CD나 반도체 메모리가 아니라
박테리아
게놈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미 국립 북서태평양 연구소의 왕백 ... 역할을 한다”며“
박테리아
가 1백세대를 지나도 삽입된 정보는 다음 세대로 전달돼
박테리아
의 게놈 속에 안전하게 저장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
① 일란성 쌍둥이와 복제인간 같은가 다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동물세포를 침투한
박테리아
의 흔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먹이와 안정된 공간을 찾던
박테리아
가 동물세포로 침입해 에너지를 만들어주는 대신 먹이감을 제공받는 공생관계로 진화됐을 것이라는 추측이다.김 교수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점 돌연변이 원인으로 지목하는 이유는 이 유전자가 ... ...
섹시한 냄새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차소비자, 그리고 2차소비자를 먹는 것은 3차소비자이다 이들 동식물의 죽은 몸체는 다시
박테리아
에 의해 분해, 무기염류로 되어 식물에 흡수된다 그러나 자연계의 먹이사슬은 단일하게 존재하지 않으며 모두가 먹이망(food web)을 형성한다 또한 먹이사슬의 각 영양단계에서 단위면적당 생물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