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순"(으)로 총 1,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완벽한 식물을 만들기 위한 도전향기가 진한 서양 난을 만들 순 없을까. 동양 난은 향기가 좋지만 꽃이 작고, 서양 난은 꽃이 예쁘지만 향기가 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두 난의 장점을 합치기 위한 시도가 한창이다. 하지만 꽃이 향기를 만드는 과정에는 한두 개의 유전자가 ...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감각까지 사람이 느낄 수 있게 해. 하지만 로봇이 느낀 감각을 사람이 똑같이 느끼게 할 순 없어. 아직 사람의 신경체계를 다 이해하진 못했거든.실현된다면? 실제 모습은 ‘입는 로봇’ 라젠카 같은 교감형로봇은 현재 기술을 고려하면 당분간 만나기 어려워. 하지만 아이언맨 같은 입는(웨어러블) ...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비밀 ➊ 땅 속의 구들조선 온실의 첫 번째 비밀은 바로 구들이야! 구들은 한자인 온돌의 순 우리말 이름이지. 조선 온실은 아궁이가 있고, 아궁이와 연결된 구들 위에 흙이 덮여 있어. 이 구들이 추운 겨울에도 식물들을 따뜻하게 해 준단다. 비밀 ➋ 아궁이의 가마솥과학자들이 조선 온실의 뛰어남에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일일이 확인하기로 했다. 사람에 따라 수천~수만 개의 데이터를 확인했다. 기자도 가나다 순으로 이성열 타자의 2005년 기록부터 이연수 타자의 1995년 기록까지 2781개 항목을 대조했다. 각자가 집에서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해 한 이 작업은 3월 12일 오원기씨가 취합하며 완전히 끝났다 ... ...
- 수능 과학탐구를 정복하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가장 많이 선택한 과목은 생물 I이었고 다음으로 화학 I, 지구과학 I,물리 I, 생물 II 순이었다. 생물을 선택한 수험생이 압도적으로 많다. 기본으로 생물을 하고 나머지 과목에서 하나 또는 두 개 과목을 고르는 식으로 선택하기 때문이다.학생들이 많이 선택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 ...
-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출발수학동아 l2012년 04호
- 4월호 표지 만들기’가 진행되고 있군요. 얼마나 멋진 표지가 탄생할지 정말 기대되는 순간입니다! 1기 독자기자단을 소개합니다!➊ 모둠은 ‘외계인 탐구생활’이라는 부제를 달고 이진법으로 소통하는 외계인과 지구인의 모습을 나타냈다. 왼쪽부터 정승진, 김진형, 김하경, 김미래, 이홍주 ...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만든 것이 ‘지니계수’다. 로렌츠 곡선에서 가로축은 소득이 적은 사람부터 많은 사람 순으로 소득자의 비율을 누적한 것이고, 세로축은 소득금액의 누적 백분율이다.모든 사람이 같은 소득을 가져, 소득의 분배가 완전히 이뤄진다면 곡선은 기울기가 45°인 직선이 된다. 반면 점차 불균등해지면 ... ...
- 연산, 흥미를 갖고 따라와~!수학동아 l2012년 03호
- 마찬가지예요. 이처럼 연산은 어느 학년에서나 같은 기준으로 적용되죠. 연산의 우선순위를 기억해 실수를 줄이도록 합시다!시험 보기 전, 이것만은 꼭!중2 과정에 등장하는 ‘근삿값과 오차’ 단원에서는 많은 새로운 개념들(참값, 측정값, 근삿값, 오차, 오차의 한계, 유효숫자 등)이 나오기 때문에, ... ...
- 꼬마 사육사의 맹금과 친해지는 법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사육사들이 아기 동물을 함께 돌보다가 어느 정도 자라면 어미에게 돌려보내지요. 그 순간이 가장 보람차답니다.친구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동물들의 귀엽고 멋진 모습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었어. 더러운 배설물을 치우고, 무거운 사료를 나르거나, 공부를 많이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해. 게다가 ... ...
- 삼한사온은 신기루?과학동아 l2012년 02호
- 49)에서 가장 많이 감소했고 도시 규모별로는 대도시(-0.145), 중소도시(-0.099), 비도시 (-0.032)순이었다. 이는 대도시일수록 추운 날이 상대적으로 적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우리나라는 앞으로 극한 기온, 즉 여름철 기온과 겨울철 기온을 연구할 때 도시 효과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