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계"(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이제서야 그동안 이상했던 게 자신에게 생긴 수학방해파라는 사실을 안 지성. 탁상시계가 멈춘 것과 반응하지 않았던 버스카드, 고장난 컴퓨터와 휴대전화가 모두 수학방해파 때문이라는 사실을 안 것이다. ‘그럼 집에 가서도 이런 일이 벌어질 텐데….’ 지성이는 앞으로 어떤 일이 생길 지 ... ...
- [지구과학] 편서풍 파동과 서안 강화 현상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반시계 방향으로 볼 수 있다. 문제에 주어진 와도의 상대적 크기를 고려해 바람에 의한 시계 방향의 상대 와도 값을 -1로 봤을 때, 각 요인에 따른 와도의 크기와 부호를 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2) 서안 경계류에 대한 마찰의 상대 와도가 동안에서보다 더 크다는 것은 서안에서 대륙과 해류의 ... ...
- 같은 듯 다른 소리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소리를 낸다.상하행없이 순환하는 2호선은 시계방향으로 도는 지하철이 올 때 연속음, 반시계방향에서는 끊어진 소리가 난다.하지만 역에 설치된 음향장비에 따라 소리가 다른 경우가 있다. 신호음에 대한 표준이 없고 소리를 다르게 한 목적 자체가 단지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 ...
- 자료 정리의 달인, 통계수학동아 l2010년 09호
- 총정리할 수 있습니다.역사, 그리고 실생활 속의 통계 재혁이는 7시를 가리키는 시계를 보며 눈을 뜨고, 34번 버스를 타고, 학교에 지각하지 않기 위해 8시 40분까지 교문을 향해 달려갑니다. 그리고 신문에 적힌 오늘의 날씨에서 기온과 비 올 확률 등을 살펴 봅니다. 이렇듯 우리는 매일 숫자에 ...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산물이었던 셈이다. 사실 보행이 완전히 좌측으로 통일된 것도 아니었다. 회전문의 경우 시계반대방향으로 돌기 때문에 그 앞에서는 우측보행으로 바꿔야했고 공항의 자동문도 우측보행 기준이었다. 에스컬레이터 역시 건물에 따라 우측보행과 좌측보행이 뒤섞여 있었다.‘그랬었나? 난 몰랐는데… ...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을 만들어 내지. 이렇게 나오는 정사각형들은 점점 작아지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각 정사각형의 한 변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봐. 그러면 아름다운 ‘황금나선’이 나와.황금나선은 나팔꽃의 가지가 뻗어가는 모습이나 숫양의 뿔과 같이 다양한 자연 속에서 발견할 ...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세종대왕 때 만들었던 자격루와 앙부일구, 측우기와 조선 후기 현종 때 만들었던 혼천시계 같은 과학 유물을 분석하고 복원도까지 제시해 놓았다. 저자는 이 책을 저술하기 위해 조선 태조에서 철종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사실을 적은 ‘조선왕조실록’과, 상고부터 대한제국 말기까지의 문물과 ... ...
-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수학동아 l2010년 08호
- 바람이 불며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바람은 중심을 향해 직선으로 불지만 실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휘어져 들어온다. 지구가 자전하며 생기는 힘인 전향력 때문이다. 따라서 태풍의 모양은 바람개비가 도는 모양과 비슷한 나선모양이 된다. 한편 한가운데 동그란 구멍은 태풍의 눈이다.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0년 08호
- ”장도사가 가리킨 곳엔 천체시계인 혼천의(세종 15년에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천체시계)가 버티고 서 있었다. 그 곁엔 혼상(천구의, 세종 19년에만들어짐)도 보였다. 둥근 공 모양의 혼상엔 밤하늘을 본떠 놓은 듯, 별자리의 위치가 잘 표시돼 있었다. 기구들을 보고 있으려니, 별은 하늘에만 있는 ... ...
- 번호에 이렇게 깊은 뜻이수학동아 l2010년 08호
- 같아도 ‘-1’이 붙는 노선이 있다면,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1’이 붙은 버스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는 뜻이다.소장 가치 있는 지폐 1000원 짜리 지폐는 1000원의 가치를 지닌다. 5000원 짜리는 가치가 5000원, 1만 원 짜리는 1만 원이라는 사실은 수학을 모르는 사람도 다 안다. 그런데 같은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