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과학"(으)로 총 3,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기자가 김병수 노원과학영재교육원장이 직접 수업을 하는 수학사사반에 조심스레 침입한 건 3월 10일. 입교식을 한 뒤 겨우 두 번째 수업이 열린 날이었다. 수학사사반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수학심화반에서 1년간 배운 뒤 진급하거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새로 뽑혀 15명 내외로 이뤄져 있다 ...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첫 번째 후보는 세상에 이름을 널리 알린 스타 과학견입니다! 이들은 똑똑하고 적응력이 좋은 특징을 살려 과학 연구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역할을 맡았지요. 스타 과학견의 주인공들을 만나 보실까요? 지구 최초의 우주 비행견, 라이카1950년대 구소련(현재 러시아)과 미국은 우주개발 경쟁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에서 펼쳐진 연극 ‘남태평양’의 무대. 원주민 추장이 북을 치며 무대에 올랐다.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다. 파인만은 암 수술을 받은 직후였지만 늘 그렇듯 ‘유쾌한’ 모습으로 공연을 마쳤고, 이후 주변 사람들에게 ‘추장님’으로 불리게 됐다. 올해는 19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약 46억 년 전 탄생한 지구에는 다양한 원소들이 존재했다. 그리고 이 원소들이 서로 결합해 지각을 구성하는 광물을 비롯한 여러 물질을 만들었으며, 그 중 생명체라는 존재 또한 탄생하게 됐다. 이렇게 지구를 구성하는 지각과 암석 그리고 그 지구위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는 같은 재료에서 시작했 ... ...
- Intro. 멍멍! 황금개띠 해의 주인공은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자~, 60년에 한 번 찾아오는 황금개띠의 해를 맞아 황금개상(常)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인간과 가장 친숙한 동물이자 인생의 동반자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여러 개들 중, 황금개상을 받게 될 개는 과연 누구일까요? 이제 대상 수상자 발표만을 앞두고 있는데요, 치열한 접전 끝에 올라 온 대 ... ...
- Part 2. 무엇이든 찾아낸다, 탐지견 꼼짝말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두 번째 후보는 순진하게 생겼어도 알고보면 무서운 탐지견입니다! 뛰어난 개코로 꼭꼭 숨은 범인을 쏙쏙 잡아내는 탐지견의 활약상을 한 번 보시죠! 내겐 남다른 직업이 있다, 특수목적견개의 뛰어난 후각을 활용하여 특별한 임무를 부여 받은 개들을 ‘특수목적견’이라고 해요. 군견, 마약탐지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지 고층대기 관측 우주를 탐색하다 극지는 우주로 열린 창이다. 지구의 자기력선은 남극과 북극에서 우주로 열려있다. 이런 자기력선을 따라 지구 대기로 유입된 우주의 입자들은 지구의 ‘고층대기(upper atmosphere)’와 상호작용하며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킨다. 오로라가 대표적이다. 오로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2018년은 황금개띠의 해예요. 강아지는 여러 동물 중에서도 사람과 친밀한 동물이지요.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좋아한다면 어떤 강아지를 좋아하나요? 오늘은 여러 강아지들 중에서도 과학과 관련이 있는 이색 강아지 4가지를 소개하려고 해요. 그리고 이 네 강아 ... ...
- Part 3. 더욱 특별해진 동반자, 반려견 함께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내가 우리 집 주치의!영국에 사는 치와와 페페는 평범한 애완견이었어요. 그러던 지난 2003년, 페페는 주인에게 이상한 행동을 하기 시작 했지요. 주인의 왼쪽 가슴과 겨드랑이에 코를 대고 계속해서 냄새를 맡았어요. 병원 검진 결과 주인은 유방암으로 밝혀 졌지요. 수술을 통해 주인이 암을 치료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지는 기후를 보는 바로미터다. 극지에 쌓인 기후자료를 복원해 과거에 기후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하고, 현재 기후변화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되는지 정량화함으로써, 미래 기후의 변화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다. 눈과 얼음이 사라지다 “극지는 전 지구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입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