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IT 기술 총집합 방구석 패션쇼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가상 모델에 입히고 걷게 한 것이다. 코로나19 때문에 화보를 찍을 수도 패션쇼를
열
수도 없자 3차원 물체를 설계하는 ‘캐드’ 프로그램의 전문가, 3차원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전문가와 함께 3차원 패션쇼를 제작했다. 3차원 애니메이션을 만들 듯 미리 만들어 놓은 옷을 3차원 그래픽으로 만들고 ... ...
기발한 연료 3총사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aba0015 연구팀은 소형 로봇일수록 에너지 밀도(일정 질량의 물질로 발생시킬 수 있는
열
량의 비율)가 큰 연료가 필요하다는 데 착안해 로비틀의 연료를 구상했다. 로비틀의 몸체는 무게가 약 88mg이고, 연료통까지 가득 채우면 무게가 183mg이 된다. 연구팀은 로비틀이 최대 2시간가량 작동하며 자체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서브 프로그램이나 코드가 컨테이너에 함께 저장돼 따라다니므로 학교에서 문서를
열
때도 이전 작업 내용이 그대로 남아있다. 김병섭 ETRI 클라우드기반SW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컨테이너는 소프트웨어에 독립적인 실행 공간을 제공하는 기술로 소프트웨어가 안정적으로 실행되게 만든다”고 ... ...
세계 6위 군사력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 안어려워요 | 국군의날 ‘세계 6위’2020년 세계 군사력 랭킹에서 한국의 순위다. 미국 군사력평가기관인 글로벌파이어파워(GFP)에 따르면 한국의 ... 국방중기계획에서 항공기를 실을 수 있는 경항공모함과 스텔스 기술을 무력화할 능동위상배
열
(AESA) 레이더 등을 도입할 계획을 밝혔다 ... ...
[2회] 데파더의 데이터 레시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교과과정에서 빠져서 낯설수도 있지만 어려운 개념은 아닙니다. 데이터를 행과
열
로 정리해 나타내기만 하면 되거든요. 그런 뒤 더하고 빼거나 곱하는 등의 연산을 할 수 있는데 이런 연산을 하면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결합해서 분석할 수 있답니다. ③ 보기 좋은 데이터가 맛도 좋다 ... ...
[한페이지 뉴스] 차세대 태양전지, 우주 테스트 성공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직접 받아야만 발전이 가능했다. 차세대 태양전지 소자는 로켓이 발사될 때 발생하는
열
과 우주 자외선 등에도 안정적으로 견뎌내며 총 7분 동안 전력을 생산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들의 수명과 안정성을 더욱 높이는 연구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부슈바움 교수는 “우주에서 사용할 수 있는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의 중요성, 100번 강조하는 대신 책 1권 추천!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아홉 번의 세미나를 생생하게 옮긴 책입니다. “10차원 공간은 무슨 뜻인가요? 좌표축이
열
개나 된다는 의미인가요?” 같이 우리가 궁금해할 질문에 대한 김민형 교수님의 답변을 천천히 이해하며 왜 수학이 다시 필요한지 공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중요한 시기에 수학동아에서 수학에 관한 ... ...
[헷갈린 과학] 산딸기 vs 복분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벌거벗은’이라는 뜻의 ‘bare’에서 유래한 단어다. 일반적인 과일과 다르게 베리류
열
매는 껍질에 싸여 있지 않고, 벗겨진 상태로 생기고 자라기 때문이다 ... ...
[한페이지 뉴스] 파란 회오리바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화재 현장에서는 불꽃이 회오리바람을 일으키는 현상을 종종 볼 수 있다. 높은
열
이 강한 상승기류를 만들어 소용돌이 불꽃이 형성되는 이런 현상을 ‘불꽃 회오리바람(fire whirl)’이라고 부른다. 미국 연구팀이 불꽃 회오리바람에서 파생된 ‘파란 회오리바람(blue whirl)’의 형성 원인을 밝혔다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결과를 연구팀이 개발한 GNN에 학습시켰다.그 결과, 연구팀의 GNN은 유리 입자가 배
열
된 이미지 한 장만 보고도 그다음 입자들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예측 능력은 현존하는 가장 발전한 기계학습 예측 방법으로 알려진 미국 펜실베니아대 연구팀의 알고리즘보다 463배다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