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화"(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당장 태양계 바깥의 행성으로 이주해야 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영화 ‘아바타’나 ‘패신저스’처럼 동면 기계를 이용해 긴 잠을 자야 할까. 아니면 ‘인터스텔라’처럼 웜홀을 통과해야 할까. 하지만 이 방법들은 아직 기술적으로 요원하다. 현재 기술로는 일단 사람이 탈 수 있는 우주선부터 ...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스파이더맨 후속작부터 페이즈4가 시작된다.어벤져스: 엔드게임이 페이즈3의 마지막인 영화인만큼 쿠키영상에서 페이즈4에서 새로 등장할 영웅과 새로운 적의 단서를 줄 지도 모른다. 마블 코믹스에는 타노스를 뛰어 넘는 적이 수두룩하다. 남은 영웅들이 타노스를 어떻게 무찌를지 지켜보는 동시에 ... ...
- [GO! GO! 고고학자] 테르모필레 전투의 비밀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세계를 돌아다니시겠군요?” 고고학자가 흔히 듣는 또 다른 질문이에요. 안타깝게도 영화에 나오는 흥미진진한 모험과 번쩍이는 보물은 실제 고고학자들의 삶과는 거리가 멀어요. 물론 운이 좋은 사람은 대단한 발견을 하기도 해요. 이집트 투탕카멘왕의 보물이나 경주의 황남대총, 페루의 ...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화산활동과 관계됐을 가능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실제로 화산폭발은 2018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 월드:폴른 킹덤’에서 묘사된 것처럼 인근 생물들에게 치명적이다. 화산과 멀리 떨어져 있다면 괜찮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마그마는 녹은 암석뿐만 아니라 메탄과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적절히 설계된 메타물질은 전자기파(빛) 혹은 음파(소리)를 반사시키지 않고 투과시킨다. 영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에 나오는 투명망토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메타물질 기술의 핵심은 빛 또는 소리의 굴절률을 제어하는 것이다. 입자를 여러 개 반복적으로 배치해 파동이 차례로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합성해야 한다. 그리고 그마저도 대부분 찰나에 사라진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1990년대 초반에는 110~118번을 제외하면 주기율표가 전부 채워져 있었다. 이미 자연상태에서 존재하는 원소는 거의 발견된 상태였다. 그렇다면 스크럴족의 신체가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대 방향으로 연료를 뿜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추진력을 얻어 움직일 순 있지만, 소화기의 분사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영화처럼 빙글빙글 돌면서 정확한 위치에 다가가는 건 거의 불가능해요. 그렇다면 소화기로 추진력을 얻는 건 어떻게 가능할까요? 하늘로 솟아오르는 로켓을 생각하면 쉬워요. 카운트다운이 끝나면 로켓은 ...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나의 10대는 소설과 영화에 빠져 밤을 새기 일쑤였다. 20대 초반에는 대학 방송국에서 제작PD를 하며 꼬박 2년 반 동안 영상과 오디오 편집에 매달렸고, 새벽 2~3시 방송실에서 잠드는 게 다반사였다. 그렇다. 나는 전형적인 ‘저녁형 인간’이었다. 오전 수업은 당최 집중이 안 됐다. ‘그렇게 낮밤을 ... ...
- 정재승|재밌는 과학, 따뜻한 과학으로 대중의 마음을 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과학 글쓰기를 시작한 것이 계기가 돼 ‘과학콘서트’ ‘눈먼시계공’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열두발자국’ 등 수많은 교양 과학책을 펴냈다. 특히 ‘과학콘서트’는 2001년 출간된 이래 85만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2년 전 ‘알쓸신잡’이라는 TV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 ...
- Part 2. 플라스틱 쓰레기의 피해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지금 이 순간에도 플라스틱 쓰레기는 계속 쌓여가고 있어요. 그런데, 이렇게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들은 모두 어디에 있는 걸까요? 사람의 손이 잘 닿지 않는 곳에 방치된 플라스틱 쓰레기들은 사람이 아닌, 죄 없는 생물들을 괴롭히고 있답니다. 작년 11월 19일, 인도네시아에 있는 와카토비섬 해변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