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기자의 책장] 이렇게 재밌는 수학사는 처음!수학동아 l2022년 09호
- 2022 필즈상을 받은 허준이 미국 프린 스턴대학교 교수님(고등과학원 석학교수)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생각 나는 사람이 없어도 걱정하지 마세요! 세상을 바꾼 수학자 12명의 이야기가 담긴 책 을 읽으면 되니깐요. 이 책이 특히 재밌는 이유는 수학사를 장식한 ... ...
- [인터뷰] “해리포터 같은 사람 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어느 정도 가능하면 진단을 안 받은 사람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 중엔 저나 우영우 같은 자폐인들도 있을 거예요. Q. 사람들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자폐인들은 소통 방식이 다르다는 걸 이해해줬으면 좋겠어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3화에 말을 거의 못 하고 펭수만 좋아하는 자폐인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모든 사람에게 편리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플룻 연주 영상이 뜨고, 엄마는 도시락 만들기 영상과 드라마 클립 영상이 있었어요. 저는 ‘급식왕’ 채널을 많이 봐서 그런지 해당 채널 영상과 흔한남매 영상, 그리고 동생은 게임을 좋아해서 게임 관련 영상이 첫 화면에 떴어요. 우리 가족의 다양한 취향을 알 수 있는 재밌는 미션이었습니다~ ... ...
- [특집] 똑똑한 용돈 관리, 함께 해봐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저축 30%, 소비 40%, 투자 20%, 기부 10%로 나누는 거예요. 용돈을 1만 원 받았다면 3000원은 저축, 4000원은 소비, 2000원은 투자, 1000원은 기부하게 되지요. 한 달 동안 쓸 용돈을 받는다면 일주일 단위로 나눠서 쓸 금액을 정하는 것도 좋아요. 예를 들어, 이번 달 소비하기로 계획한 4000원을 일주일에 ...
- [가상 인터뷰] 세포 실험, 이제 컴퓨터로도 할 수 있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세포가 큰 세포 사이로 골고루 퍼져 들어가 규칙적인 모자이크 패턴을 만들었어요. 실제 저로 실험했을 때와 같은 결과였지요. 스바드렌카 교수는 “생물학과 수학이 기초과학 및 의학 연구에 중요한 발견을 하기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답니다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멘토 안녕하세요! 폴리매스 어셈블 조영준입니다. 여러분은 방학을 어떻게 보내셨나요? 저는 7월 6일부터 16일까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조교로 참여했어요. 우리나라는 종합 2등이라는 좋은 결과를 얻었지요. 모두 축하해주세요! 8월 1일부터 9일까지 강원대학교에서 ... ...
- [에디터노트] 12년 전 독자위원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때였습니다. 독자위원들은 세 달에 한 번씩 서울 충정로 사옥에 모여서 회의를 했죠. 저 멀리 부산, 정읍, 청주에서 버스를 타고 찾아왔습니다. 다들 과학동아에 애정이 있었죠. 회의가 끝나도 집에 안 가고 치킨집에 남아 과학동아에 대한 자신의 열정과 자부심을 뽐낼 정도였으니까요. 편집장과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 음성 연구하던 박사 AI 성우로 창업하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편집자 주. 과학 연구는 다양합니다. 우주와 자연의 근본을 밝히는 연구도 있고, 생각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도 있습니다. 모두 중요하 ... 하다 보면 10~20년 안에 한 번씩 기회는 반드시 오는 것 같습니다. 남모르게 꾸준히 개발한 저희 기술이 현재 대세인 유튜버들의 필수품이 된 것처럼요 ... ...
- [JOB터뷰] 모두가 진실해지는 이곳,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김희송 법심리실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특징이 보여요. 자기 일을 열심히 하며 주변에 도움을 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이었죠. 저 또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며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에 기여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습니다. 여러분도 주변을 돌아보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다 보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거라 믿어요 ... ...
- [에디터노트] 특별호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미국 프린스턴에 계신 교수님과 이야기를 나누려면 13시간의 시차를 극복해야만 해서 저녁 9시 반부터 화상 인터뷰가 시작됐는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3시간 동안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이때 필즈상 시상식 당일 온라인 클래스 출연을 약속받았지요. 이 자리를 빌려 허준이 교수님께 정말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