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어"(으)로 총 1,7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비행물체를 진행 방향으로 밀고 나아가는 힘을 말해요. 그러니까 추력은 엑셀, 추력방향제어 장치는 핸들과 같지요.발사체의 궤적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뉴턴역학과 기하학적 지식, 그리고 미분, 적분과 같은 계산이 필요해요. 물론 계산은 컴퓨터가 하지만, 과학자도 기본적인 수학 지식은 있어야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지구로 끌려오므로 둘을 적절히 조절해 우주선을 조종한다.이렇게 중력을 원하는 대로 제어하거나 차단하는 일이 가능할까.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연계의 기본 힘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힘의 원천을 다뤄야 하는데, 원천을 그대로 둔 채 힘만 조종하는 ...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훌륭하게 구현했다. 현대의 거의 모든 대형 액체 로켓은 김발 방식으로 추력방향을 제어하고 있다.로켓의 추진제도 남북은 완전히 다른 길을 가고 있다. 북한은 스커드 미사일에서 사용하던 저장성 추진제를 계승하고 있다. 저장성 추진제란 로켓 추진제로 많이 쓰는 액체산소의 대체품이다. ...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설명했다.특히 천이 과정을 자율적으로 조종하도록 만든 틸트로터 무인기는 정교한 제어와 무선 통신이 이뤄지지 못하면 결코 구현할 수 없는 핵심 기술이다.아직은 시제품 수준이다. 활주로 없어도 신속하게 이륙해 빠른 속도로 날아가 독도 상공을 감시할 수 있는 틸트로터 무인기를 기대해 본다 ...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제어 시스템 기능이 공유기(AP)에 없기 때문이다.정리하자면 셀룰러 통신은 관리와 제어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만 통신이 끊기지 않는다. 하지만 와이파이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대신 통신 간섭을 일으킬 확률이 높아진다. 스마트폰끼리 알아서 데이터 통신을 관리해 주는 분산 방식이 ...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어떤 점이 다를까. 원격 조종이나 자동비행이 훨씬 쉬워진다. 보다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거나 자동 비행할 때도 다양한 형태의 궤적을 그리며 날 수 있다. 초소형 멀티로터 무인기는 현재 지름 1m급 크기의 무인기들이 개발돼 항공사진 촬영용이나 뉴스, 자연 다큐멘터리 촬영용으로 활발하게 쓰이고 ... ...
- 빛을 쬐면 뇌세포 자극하는 삽입물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오랜 화두다. 보통 뇌신경세포는 전기자극을 통해 활성화되는데 빛의 자극을 통해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인공 삽입물이 개발됐다. 비테 루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은 유전적으로 특정 신경 세포를 조작할 수 있는 인공 삽입물을 개발하고 국제 학술지 ‘랩온어칩’에 1월 18일 ...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부위를 제어하는 것 역시 대뇌의 역할이다. 좌뇌는 몸의 오른쪽을, 우뇌는 몸의 왼쪽을 제어한다. 즉 왼손잡이는 우뇌를 많이 사용하므로 이를 발달시켜 미술, 음악, 체육과 같은 지능을 발달시킨다는 논리다. 즉 ‘레오나르도 다 빈치나 미켈란젤로 같은 예술가는 왼손을 써서 우뇌가 발달했기 ...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삼각대에 거치된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하면 된다.먼저 촬영장비로 셔터속도가 제어되는 캠코더(비디오카메라)와 삼각대, UV필터를 준비한다. 태양 근처에 구름이 없는 맑은 날을 택해야 한다. 구름이 있어도 태양 주변에만 구름이 없다면 가능하다. 적절한 촬영 장소는 태양이 중천에 떠 있을 ... ...
- 대한민국 원자력 기술의 상징, 하나로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만든다. 사용하는 핵연료의 우라늄-235 비율을 유지한 채 밀도를 높여 더 효율적이고, 제어봉을 아래에 설치해 위쪽의 작업 공간이 더 넓다.계획대로 된다면 우리나라는 앞으로 50년간 20여 기의 연구로를 수주할 수 있다. 원자력 기술 강국의 길로 들어서는 셈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로가 가동된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