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
d라이브러리
"
혈액
"(으)로 총 1,731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뇌출혈부터 암까지 뱀독으로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적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종양이 수를 늘리고 다른 기관으로 퍼지기 위해서는
혈액
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그 통로인 혈관을 만드는 작업은 필수다. 이 때 혈관을 만드는 것을 돕는 물질이 인테그린이라는 단백질이다. 텍사스살모사에서 분리한 단백질은 인테그린 ... ...
배신자 효소 파괴하는 저격수 효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암세포를 후방 지원하는 ‘배신자 효소’가 존재한다. 이 효소는 유방암, 폐암, 골수성
혈액
암 등 많은 암세포에 달라붙어 암의 진행과 전이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국내 연구진이 배신자 효소를 없애는 ‘저격수 효소’를 찾아냈다. 이 효소를 이용하면 새로운 암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 ...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양치기 개의 뼈에 고정했다. 기관과 식도를 열어놔 강아지가 양치기 개의 순환계를 통해
혈액
을 공급받을 수 있게 했다.세시간 뒤 양치기 개가 눈을 깜빡였고, 다시 네 시간이 지나자 목을 움직였다. 하루 뒤에는 이식된 강아지 머리도 기운을 차렸다. 조수의 손가락도 세게 깨물 정도였다. 하지만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심지어 지린내가 난다는 여성도 많았다. 연구팀은 이 여성들의
혈액
에서 DNA를 추출한 다음 염기서열의 차이를 분석했다(SNP분석). 그 결과 400여 개의 냄새 수용체 중 하나인 OR7D4 유전자의 변이에 따라 안드로스테논이 각각 다른 냄새로 감지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현상을 발현이라고 한다. 합성된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다양한 기능을 해 머리카락의 색,
혈액
형과 같은 개체의 형질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전자에 이상이 생기면 형질에도 이상이 생긴다. 혈우병, 백혈병, 암 치료가 까다로운 병은 유전자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따라서 이런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혈관이 봄에 해동될 때 손상되지 않을까요? 숲개구리의 혈관벽에는 피브리노겐이라는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단백질이 고농도로 존재합니다. 해동과정에서 혈관이 손상되면 이 단백질이 즉시 내벽을 격자처럼 감싸서 피가 새지 않게 해 혈관의 추가적인 파열을 막아준다고 합니다.발생학 연구에 큰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사람들이 아침형에 비해 per3 유전자가 짧았다. 연구팀은 ‘수면지연 증후군’ 환자들의
혈액
샘플도 분석했다. 이 환자는 늦게까지 잠을 이루지 못하다가 아침이 되면 곯아 떨어져 오후에나 정신을 차린다. 조사 결과 75%의 수면지연 증후군 환자 역시 짧은 per3 유전자 쌍을 갖고 있었다. per3 유전자가 ... ...
브레인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모양이 마치 나뭇가지처럼 생겨 수지상(樹枝狀)세포라고 부른다. 먼저 뇌종양 환자의
혈액
에서 수지상세포를 순수 분리한다. 이를 환자의 종양조직과 안전하게 융합시켜 환자에게 주사하는 것이다. 이렇게 투여한 수지상세포 백신은 환자의 몸 안에서 강력한 항암 면역작용을 유도해 암을 치료한다 ... ...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22번 염색체의 BCR 유전자에 달라붙어 생긴다. 이 돌연변이가 생기면 비정상적인 백혈구가
혈액
속에 가득 차 결국 피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환자가 목숨을 잃는다. 이번에 개발된 치료제 ‘슈펙트캡슐’은 이 돌연변이 유전자를 무력하게 만들어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는다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실어 나른다. 산소가 얼마나 소모되는지를 계산하면 뇌의 활성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혈액
속 산소의 농도에 따라 빛의 흡수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머리 표면에 생체 투과성이 높은 근적외선을 쪼여주면 뇌 활동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양이 달라진다. 2009년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은 이 기술을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