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바다로 돌아간 제돌이는 잘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11호
- 40년 정도이니, 사람으로 치면 중년이 되어서야 자연으로 돌아온 셈이다. 그래서인지 2017년 방류되고 나서 두 돌고래를 목격한 사람은 아직도 없다. 다행히도 비교적 짧게 수족관에 있었던 돌고래들은 바다에서 신나게 뛰놀고 있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사람들이 잘 살고 있는지 끊임없이 관찰하면서 ... ...
- [기획] 일회용컵 줄이기, 대안은 다회용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맞는 사람들과 다회용기 공유 서비스를 시작했어요. 위생적인 다회용기를 위해 저희는 7단계의 세척 시스템을 만들었어요. 초음파와 자외선 등을 이용해 관리하지요. Q코로나19 유행 탓에 다회용기를 공유해도 괜찮을지 걱정하는 분도 있어요.이런 우려 탓에 지난해 미생물 오염도 테스트를 ... ...
- [현장취재] 수학으로 하나 되는 제1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위한 행사인 만큼 학생 중심으로 짜면 좋겠다고 생각해 7월 준비위원회를 모집했어요. 총 7명의 학생이 2개월간 열심히 준비했지요. 준비위원회장인 이우진 인과영 2학년 학생은 “수학교류전은 과학예술영재학교만이 할 수 있는 행사여서 특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 첫 회 준비에 동참하고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2화. 수학과와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간절히 원했던 옥스퍼드대 수학자의 필즈상 수상 2022년 7월 5일 제임스 메이나드 옥스퍼드대 교수가 허준이 교수님과 함께 2022 필즈상을 거머줬는데요. 사실 옥스퍼드대의 역사와 명성, 수학 업적과 비교하면 옥스퍼드대 수학과 출신 필즈상 수상자가 적다는 건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얼마나 피해를 받을지’ 가늠할 땐 침수범위와 규모 외에도 고려할 요소가 많습니다. 2017년 건축도시공간연구소는 ‘신 기후체제 대비 건축물 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진단 연구’ 기본연구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홍수가 났을 때 발생하는 피해를 열 가지 공간변수를 활용해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실험적으로 쓰였으나 이제는 전 세계 병원, 제약회사 등에서도 찾고 있다. 특히 올해 7월 나온 새 모델은 출시하자마자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를 비롯해 여러 글로벌 제약기업에서도 구매 요청이 들어오고 있고, 계약이 체결되고 있다.. 투자계 큰손들의 관심도 한껏 받고 있다. 2021년에는 212억 규모 ... ...
- 실험실에서 태어나는 아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것처럼, 생명을 만드는 일 말입니다.하지만 이젠 현실에서도 가능합니다. 올해 7월, 니콜라 리브론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 그룹리더팀이 쥐 인공 배아를 대리모 자궁에 착상시켜 쥐의 초기 구조를 만든 겁니다. 무려 정자와 난자의 수정 없이도 말이죠. 이 배아의 정체는 ... ...
- 과학자들의 메타버스가 열린다, 비대면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가상에서 현실을 새롭게 만든다비대면 연구 플랫폼은 2027년까지 개발을 마무리하고 연구 기관과 기업 등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현재는 기초 연구를 하는 단계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현장에서 수집한다. 신 책임연구원은 “건축 관련 데이터는 ... ...
- [DIGST@융복합 파트너] 재미있는 양자물질연구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연구실은 ‘재미있는 양자물질 연구실’이에요.”7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난 박기성 교수는 연구실을 이렇게 소개했다. 실제 박 교수 연구실의 이름이기도 한데, ‘재미있는’과 ‘양자물질’이라. 어울리기 어려울 것 같은 두 단어가 붙어있다.‘어째서…’ 라고 묻는 기자의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힘이 강해져 응집력도 강해진답니다. Q 코에 물이 들어가면 왜 아픈가요?김승주(sjtree7)A 우리의 콧속 점막은 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막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만약 콧속 점막을 소금물에 담근다면, 소금은 입자가 커서 막을 통과할 수 없지만, 물은 입자가 작아 막을 통과할 거예요. 우리 몸을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