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어린이과학동아
"
줄기
"(으)로 총 56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은 내 거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05
암이나 심장병 같은 유전자가 관련된 질병을 연구하는 데 큰 공로를 세워 노벨상을 받았어. 유전자 적중법은 아기가 되는 배아
줄기
세포의 특정 유전자만 정확히 없애는 기술이야. 먼저 유전자 적중법으로 암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를 없앤 쥐를 만들어. 그 쥐를 연구하면 그 유전자가 암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 수 있지. 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없 ...
핥고 빨고 찌르는 곤충의 입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다니지만, 꽃에 앉으면 길게 펴서 꽂고 꿀을 빨아먹지요. 나비의 대롱 입은 쉽게 구부릴 수도 있어요. 매미는 바늘처럼 생긴 입을 나무
줄기
에 꽂고 수액을 빨아먹고 살아요. 매미의 대롱 입은 딱딱하기 때문에 구부릴 수가 없어요. 그래서 평소에는 배 쪽으로 접어서 붙이고 다니지요 ... ...
과학자들의 수다 최고 과학자 3인은 누구?(2)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시댄가? 바로 생명공학 시대 아닌가? 그 시작은 나부터라고 감히 말하겠네. 내가 완두콩을 키우면서 유전의 법칙을 찾아 냈거든. 한
줄기
에서 나오는 완두콩이라도 생긴 모양과 크기가 왜 조금씩 다른지를 7년 넘게 연구했지. 결국 완두콩의 특징은 부모 세대로부터 물려받은 형질 때문이란 걸 알아 냈어. 물론 이 형질을 결정하는 게 유전자라는 것까지는 ...
붉은 보름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12
이 배아는 99.9%가 인간, 0.1%는 동물의 특성을 갖는다고 해요. 물론 이 배아는 자궁에서 키우는 것이 아니라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는
줄기
세포를 얻는데 쓰일 예정이에요. 그러나 인간의 유전자를 동물과 섞는다는 점에서는 큰 충격을 주고 있어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소제시작]이산화탄소 먹는‘개도박’[소제끝] 지구는 요즘 이산화탄 ...
군사로봇 짱 뽑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10
아주 큰 성과예요. 여성은 처녀생식
줄기
세포만으로도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거든요. 황 박사가 연구 결과를 속이지 않고 처녀생식
줄기
세포를 만들었다고 솔직하게 말했으면 좋았을 거예요. [소제시작]학생과학발명품대회 대통령상 김진훈[소제끝] 제29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서 경기 이곡초등학교 6학년 김진훈 군이 대통령상을 받았어요. ...
착한
줄기
세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29
바꾸는 거죠. 4개의 유전자가 피부세포에 “배아
줄기
세포로 변해라”라고 명령을 내린답니다. 이번에 만든 ‘착한’ 배아
줄기
세포를 이용하면 앞으로 난치병을 고칠 수 있겠죠? *배아 : 수정란이 분열해 며칠 자란 것으로 다 자라면 아기가 된다. [소제시작]‘티라노만 한 닭?’ 거대한 깃털공룡 발견[소제끝] 거대한 닭처럼 생긴 깃털공룡의 화 ...
한국인 뇌지도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11
소제끝] 한국인의 뇌지도가 올해 안에 나올 전망이에요. 이 뇌지도는 가천의과대학교 조장희 박사가 만들고 있는데요, 뇌 사진 위에 뇌
줄기
나 피질, 혈관 등의 위치를 정밀하게 표시한 지도예요. 미로처럼 복잡한 뇌 속을 동네 돌아다니듯 생생하게 볼 수 있죠. 교과서에 나와 있는 뇌 해부도는 죽은 사람의 뇌를 찍은 것이기 때문에 미세혈관 등을 볼 수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재선충이 잣나무로 옮아온 거죠. 그래서 요즘은 소나무류재선충이라고도 해요. 길이는 0.6~0.8mm 밖에 안 되지만 나무의 뿌리, 가지,
줄기
등에 살면서 양분을 빨아 먹어요. 아쉽지만 우리가 사는 소나무나 잣나무는 말라 죽게 되죠. 기자 : 헉. 불쌍한 잣나무들. 도대체 어떻게 잣나무 속으로 들어가는 거예요? 재선충 : 우리가 발이나 날개가 ...
우등생 비결은 잠자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28
신경세포가 필요한 기능을 대신 맡은 거죠. 병으로 이상한 행동을 보이던 쥐도 다시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해요. 인간의 뇌 질환도
줄기
세포를 이용해 치료할 수 있을까요? 김 교수팀은 미국의 과학자 들과 4월부터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들어간다고 해요. 시험에 성공하면 뇌종양으로 고생하던 환자들이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예요. 눈·비를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짓누르는 압력과 서늘한 수온은 어떻구. 난 깊은 바닷속에는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다고 확신했어.그런데 내 생각이 틀렸어. 한
줄기
의 빛조차 들어오지 않는 바다 밑이지만 스멀스멀 다가오는 생명의 그림자들을 보며 나는 경악했지. 바닷물이 따뜻해서 많은 해양생물들이 살고 있는 인도양을 지날 때였어. 모모는 팝음악을 들으며 평온한 낮잠에 빠져 있었고, ...
이전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