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403건 검색되었습니다.
마라톤, 중년에겐 '돌연사' 원인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교수, 김영주 성신여대 운동재활복지학과 교수 연구팀이 운동 부하 고혈압 관련
논문
24개를 종합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달리기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켜 건강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40~60세 중장년층의 과도한 달리기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지난달 학술지 '사이언스'에는 이런 현상이 관찰된 지 20여 년 만에 그 이유를 밝힌
논문
이 실렸다. 역시 MIT 신하 교수팀이 인도 여러 기관과 함께 연구한 결과다. 이들은 백내장 수술을 받고 적응한 청소년들 고유의 시지각 패턴에 주목했다. 컬러 사진을 볼 때는 정상에 가깝지만 흑백 사진에서는 ... ...
[과기원NOW] DGIST, 뇌 속 세포들 간 소통방법을 집대성한 종설
논문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연구팀은 성상교세포-신경세포 상호작용에 대한 종설
논문
을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엄지원·고재원 뇌과학과 시냅스 다양성 및 특이성 조절 연구단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성상교세포-신경세포 상호작용에 대한 종설논했다고 11일 밝혔다. 성상교세포는 ... ...
中, 12일 푸바오 공개…외교와 멸종 보호 연구 위해 오고가는 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고 밝혔다. 그 결과 판다의 변이 좋지 않은 이유가 특정 세균 때문이라는 내용의
논문
을 발표하기도 했다. 신 교수는 "소수의 판다만 임대되고 중국 소유이기 때문에 중국 판다연구센터처럼 적극적으로 판다 연구를 할 수 없는 점이 아쉬웠다"면서도 "판다의 생활양식, 행동 등을 관찰하는 정도의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실내조명에 사용되는 녹색광을 사용해 최고 수준의 이산화질소 감지 성능을 구현한 연구 결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어터리얼즈' 표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일상 ...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6월호 속표지
논문
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 ...
슈퍼박테리아 정복에 AI가 도움줄까...항생제 후보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86만3498개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에 발표했다. 연구
논문
의 공동저자인 세자르 드 라 푸엔테 미국 펜실페이니아대 교수는 "한때 수 년이 걸렸던 작업을 이제는 컴퓨터를 사용해 불과 몇 시간 안에 할 수 있게 됐다"며 "특히 AI는 새로운 약물 후보물질을 발견하는 ... ...
수학계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 한발짝…3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5개의
논문
을 통해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기하학적 추측 중 하나를 입증했다고 보도했다.
논문
의 페이지 수는 합치면 총 1000페이지를 훌쩍 넘긴다. ● 편지에서 시작한 랭글랜즈 프로그램 단어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랭글랜즈'는 캐나다 수학자 로버트 랭글랜즈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 교수 ... ...
남성 정액서도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높아지며 정자의 대사 효소 활동이 낮아진다는 기존 연구가 있었다. 연구팀은
논문
을 통해 “정자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이 생식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 추가적으로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짜정보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06.08
정책이 개별 게시물을 금지하는 것보다 가짜뉴스를 차단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내용의
논문
을 발표했다. 트위터 사용자 약 50만 명이 공유한 사이트를 분석한 결과다. 미국 스탠퍼드대, 카네기멜론대 등 공동연구팀은 온라인에 잘못된 정보가 떠도는 데에 기업의 광고비가 의도와 상관없이 ... ...
'멍 때리는' 데 관여하는 신경망, fMRI로 찍어 9년 전 치매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변화가 먼저 나타나고 이를 fMRI 영상으로 우선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
을 통해 "알츠하이머를 유발할 수 있는 뇌의 단백질을 감지하는 기술이 점점 발전하고 있지만 특정 단백질을 가졌더라도 많은 사람이 치매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수십 년을 산다”며 “이번에 개발된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