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뉴스
"
단점
"(으)로 총 1,485건 검색되었습니다.
휘는 디스플레이 붙이는 신축성 높은 투명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강화하기 위해 재료로 사용되는 아크릴 양을 늘리면 기판을 부식시킬 수 있다는
단점
이 있었다. 연구팀은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늘어나거나 수축하는 능력도 함께 강화해 휘거나 마는 동작에도 잘 견디고 원래의 형태도 잘 회복하는 접착제를 개발했다. 먼저 점착제의 재료 비율을 조절하고, ... ...
'치료제도 찾는다'…영국, 코로나 환자에 단일클론항체 시험
연합뉴스
l
2020.09.15
질병의 치료에 활용돼 왔다. 다만 비교적 새로운 기술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
으로 꼽힌다. 이번 시험은 영국에서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초기부터 병원 입원 환자에 활용할 수 있는 치료제를 찾기 위해 옥스퍼드대 연구팀 주도로 추진 중인 '리커버리'(RECOVERY) 프로그램의 ... ...
백금-희토류 합금 나노촉매 개발…'프로판→프로필렌' 효율높여
연합뉴스
l
2020.09.10
전환율과 프로필렌 선택도는 높지만 반응 중에 탄소 부산물 때문에 빠르게 비활성화되는
단점
이 있다. 4㎚ 크기의 메조다공성 제올라이트 표면의 기공에 백금-이트륨 합금(Pt₃Y) 나노입자가 분산돼 있는 모습. [네이처 논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0.55㎚(나노미터=1 ... ...
‘전고체전지’ 핵심 고체 전해질 저비용 대량생산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8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지만 전해질의 핵심 기능인 이온 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게
단점
이다. 연구팀은 저렴한 원료로 성능이 뛰어난 고체 전해질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특수 습식합성법’을 개발했다. 저가의 저순도 원료에 최적의 합성 첨가제를 투입해 이온 전도도가 높은 고체 전해질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태양전지, 자동차 등에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아직은 안정성 면에서 다소 취약하다는
단점
이 있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다루는 데 높은 온도가 필요해 제작이 까다롭고, 미세한 긁힘(마모)에 성질을 잃는 경우도 많다”며 나노튜브로 반타블랙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이유를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기술은 소자를 한번 제작하고 나면 특성을 바꾸기 어려워 재현할 수 있는 색이 고정되는
단점
이 있다. 포스텍은 노준석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와 김인기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연구원 연구팀이 정윤영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해 만든 반도체 칩을 활용해 ... ...
미군, 수송기에서 드론 대량 발사·회수 기술 확보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비싸지는 전투기 대신 값싼 드론을 활용해 임무를 수행해 비용을 아낄 수 있고 드론의
단점
인 짧은 항속거리도 보완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그렘린이란 이름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 파일럿이 목격했다고 주장한 요정의 이름에서 따왔다. 그렘린을 목격하면 비행기가 고장나 ‘악동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10%도 채집하지 못하는 등 기능에 제한이 있고 채집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손상되는
단점
이 있었다. 연구팀은 전기장을 이용해 바이러스를 빠르고 손상 없이 채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큰 침방울 외에 1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미세한 바이러스도 99%까지 손상 없이 채집이 가능하다. 여기에 두 ... ...
기공 많아지면 더 튼튼해지고 스스로 치유되는 금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다공성 금 소재 내부의 기공을 작게 만드는 방법을 이용해 쉽게 부서지는 다공성 소재의
단점
을 해결한 것이다. 물질 내부에 미세한 구멍을 많이 만들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진다. 나노 다공성 금 소재도 내부에 수십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작은 구멍이 촘촘히 있는 ... ...
빠르게 움직이는 혈액 '순간포착'...고해상도 광학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공간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영상 수를 늘리면 그만큼 시간분해능이 떨어진다는
단점
이 있었다. 박 교수팀은 촬영하는 영역의 특성에 맞춰 선택적으로 빛의 진폭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시간분해능과 공간분해능을 모두 높이는 데 성공했다. 예를 들어 짧은 순간을 포착해야 하는 유체 영역은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