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뉴스
"
백
"(으)로 총 1,079건 검색되었습니다.
어지럼증 없는 3차원 디스플레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7일자에 발표됐다. 토모그래픽 3차원 디스플레이의 원리를 나타냈다. 고속 공간 변조
백
라이트, 액정 패널, 가변 초점 렌즈를 동기화 하여 다수의 단층 이미지를 여러 깊이에 재현했다. 서울대 공대 ... ...
"차별에 대해 어떻게 투쟁했나"…NASA본부에 '히든 피겨스' 거리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내에 ‘캐서린 존슨 계산연구소’를 열었다. NASA가 미국 우주개발을 주도한
백
인 남성 정치인이나 과학자 대신 흑인 여성의 이름을 따 연구시설의 이름을 지은 건 처음이다. 캐서린 존슨은 이번 기념식에 참석하지는 못했지만 101세의 나이로 아직 살아있다. 메리 잭슨은 2005년, 도로시 본은 2008년 ... ...
[과학게시판]핵융합연·특허전략개발원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0일 광주 북구 GIST 제2학생회관
백
암홀에서 'GIST 총장과의 산학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지역 주요 기업인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인공지능(AI) 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사업'의 수행을 위한 GIST와 지역 기업 간의 산학협력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원래 의료용 AI 회사가 아니었다고 들었다. 의료용으로 특화한 이유가 무엇인가
백
전 대표가 루닛을 설립할 때만 해도 의료용 AI만 만들겠다는 생각은 없었다. 초기에는 의상을 매칭해주는 패션 AI를 개발하고 있었다. 하지만 패션 분야에서 AI를 개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사람과 옷에 ... ...
인공광합성 일어나는 '찰나의 순간' 세계 최초로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이동하는 것은 규명됐으나 전자가 생성되는 순간을 포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백
센터장은 “COF 광촉매상에 빛이 조사되자마자 전자와 정공이 어떻게 생성되고 움직이는지 원리를 알게 됐다”며 “앞으로 인공광합성용 광촉매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밑바탕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고 돼 있다. 예컨대 ‘이천
백
사십이억 사천팔
백
만 원’ 또는 ‘2142억 4800만 원’이라고 써야 우리 맞춤법에 맞다. 이렇게 쓰면 아무리 큰 숫자라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숫자읽기부터 우리는 불편하다. 숫자만 보면 골치가 아프기 시작한 것은 ... ...
[주말N수학]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2019.05.25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필자소개 조용승 교수. 미국 시카고대에서 카렌 울렌
백
교수의 도움 을 받아 1987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대한수학회 회장과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초대 소장직을 맡았었다. 이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으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어느 것도 당연하게 받아들이지 말라
2019.05.16
열린 이세돌과 알파고의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에서 이세돌 9단이 186수 만에
백
불계패했다. 딥마인드 유투브 캡쳐 알파고가 등장하기 전에도 도정일은 이런 점을 간파했는지 자신의 칼럼에서 과학의 방법론을 언급하면서 영국 왕립학회의 모토를 소개하고 있다. “어느 것도 당연한 ... ...
식중독·파상풍균 검출 쉬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빠르게 확인하는 데에도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장 교수는 “
백
고를 이용하면 최소한의 염색 과정으로 다양한 그람양성균을 살아있는 상태로 탐지할 수 있다”며 “폐수 모니터링과 세균 감염 진단 등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영하 40도 극지용 장거리 송유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재현했다. 향후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 및 기자재 성능평가가 가능할 전망이다.
백
용 건설연 선임연구위원은 “극한지 자원이송망 기반구조물 기술 개발로 국내 기업들의 미래 자원개발 및 건설 신시장 개척에 기여할 수 있게 됐다”며 “5년 내 예정된 프로젝트 규모만 100억불 이상인 극한지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