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뉴스
"
변환
"(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2020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문화시설 전시해설 안내방송을 문자(자막) 및 한국수어 애니메이션으로
변환
하는 기술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해 12~13일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한국수어를 제1 언어로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이 박물관, 미술관, 전시시설 등에서 문화생활을 영위할 수 ... ...
[뉴스페이스 업리프트] "위성 셔틀로 우주 고객의 '라스트 마일' 책임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궤도마다 위성을 내려놓는 식으로 운영된다. 모멘투스는 이를 위해 물을 플라즈마로
변환
시켜 추력을 내는 엔진을 개발해 지난해 시연에도 성공했다. 모멘투스가 개발중인 '비고라이드'는 여러 대의 위성을 탑재한 채로 발사체에서 분리된 다음 스스로 추진하며 정확한 궤도에 위성을 전달하는 ... ...
[한 토막 과학상식]열을 전기로 바꾸는 '하프호이즐러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띤다. 하프 호이즐러는 열 안정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면서 온도차를 전력으로
변환
하는 ‘제백 계수’도 높다. 독성이 없고 지구에 풍부하게 매장된 원소를 활용할 수 있는게 장점이다.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승훈 경북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하프 호이즐러 ... ...
손가락 터치로 홀로그램 구현...미래 디스플레이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온도에 반응하는 액정을 접목한 장치는 특정 온도(47도) 이상이 되면 홀로그램 이미지가
변환
됐다. 터치에 반응하도록 디자인된 장치는 10킬로파스칼(kPa)에서 0.01메가파스칼(MPa) 사이의 가벼운 손가락 압력 터치 만으로도 홀로그램 이미지를 빠르게 바꿀 수 있었다. 노준석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 ...
발전소 설비·부품 변형 파동 자동 측정해 사고위험 막는다
연합뉴스
l
2020.11.10
고장 징후를 사전 파악하는 전기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전기연구원 전기
변환
소재연구센터 김인성 박사팀이 '프리엠프(Pre-amp) 내장형 전기 센서 기술'을 국산화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탄성체로부터 전달되는 미세한 진동(탄성파)을 감지해 각종 설비, 시설물의 열화(劣化·성능 ... ...
이산화탄소 자원화 ‘걸림돌’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최근 활발하다. 대표적인 게 이산화탄소를 화학공업의 출발 원료로 사용되는 에틸렌으로
변환
하는 연구다. 그러나 이산화탄소가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반응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황윤정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에틸렌 생성 반응의 핵심 ... ...
"CO₂로 에틸렌 만든다…고선택성·고효율 촉매개발 토대 마련"
연합뉴스
l
2020.11.08
밝혀지지 않아 고성능 촉매를 개발하는 데 걸림돌이 돼 왔다. 이산화탄소의 에틸렌
변환
반응에서는 에틸렌뿐 아니라 메탄(CH₄), 에탄올(C₂H₃OH), 수소(H₂) 등 10가지가 넘는 물질이 함께 만들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고선택성 촉매를 개발하려면 이산화탄소→에틸렌 전환 ... ...
인공 손가락이 깨지기 쉬운 액정 화면도 부드럽게 터치
연합뉴스
l
2020.11.05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액추에이터는 전기 신호를 기계적 운동으로
변환
하는 장치다. 최근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게임 분야에서 부드러운 인공 근육에 기반한 소프트 액추에이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스마트폰 기기와 같은 낮은 전압에서는 반응 속도가 너무 느려 ... ...
우주방사선 측정하고 연소실험하고...로켓·위성 넘어 스포트라이트 받는 우주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10km에서의 입자별 에너지를 예측하고 이를 방사선량으로 계산한 뒤 유효 방사선량으로
변환
하는 작업을 거친다. KREAM을 개발하고 정확도 분석 연구를 수행한 황정아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미국 FAA나 NASA가 개발한 예측모델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보다 자체 개발해 업데이트와 유지보수가 가능한 ... ...
[프리미엄 리포트] 코로나시대 전세계 마스크 쓰레기 매월 1290억개...해결 방법은
과학동아
l
2020.10.31
마이크로파 대신 자연광을 이용한 인공광합성 기술로 플라스틱을 유용한 화학물질로
변환
했다. 일부 플라스틱을 발전소 전기 생산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포름산으로 전환한 것이다. 플라스틱과 화학물질을 혼합한 용액에 인공 태양광을 쪼이면 분해되는 원리를 이용했는데, 실험결과 플라스틱이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